-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DAY 51
Q53 전체 쓰기 연습 ① (쉬운 주제)
드디어 53번 문제의 전체 글쓰기 연습을 시작합니다! 오늘은 비교적 쉬운 주제로 서론, 본론, 결론을 작성하는 완전한 글쓰기 과정을 연습하며 자신감을 키워볼 거예요. 구조만 잘 잡으면 절반은 성공입니다!
Finally, we're starting the full writing practice for Q53! Today, we'll practice the complete writing process—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with a relatively easy topic to build confidence. Getting the structure right is half the battle!
💃 Grace:
마이크 씨, 오늘부터는 53번 문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쓰는 연습을 할 거예요.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차근차근 함께 해봐요.
Mike, from today we're going to practice writing the entire Q53 from start to finish. Don't worry too much. Let's do it together step-by-step.
🧔 Mike:
200~300자 글을 한 번에 쓰는 건 처음이라 조금 긴장되네요.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요.
I'm a bit nervous because it's my first time writing a 200-300 character text all at once. I feel a bit lost on how to start.
오늘의 연습 문제 (Today's Practice Question)
오늘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유'라는 친숙한 주제로 연습해 봅시다.
Today, let's practice with the familiar topic of 'Reasons for Raising Pets'.
[문제] 다음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유'에 대한 조사 결과입니다. 그래프를 보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유가 무엇인지 200~300자로 쓰십시오. (50점)
[Question] The following is a survey result on 'Reasons for Raising Pets'. Look at the graph and write 200-300 characters about why people raise pets. (50 points)
조사 기관: 행복 연구소 (Research Institute: Happiness Research Center)
조사 대상: 성인 남녀 1,000명 (Survey Target: 1,000 adult men and women)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유 / Reasons for Raising Pets]
외로워서 (Because of loneliness): 45%
동물을 좋아해서 (Because I like animals): 30%
주변의 추천으로 (By recommendation from others): 15%
기타 (Others): 10%
Step 1: 서론 쓰기 (Writing the Introduction)
서론에서는 조사 기관, 대상, 주제를 간략히 언급하며 글을 시작합니다. 문제에 제시된 정보를 그대로 활용하면 됩니다.
In the introduction, you start the text by briefly mentioning the research institution, target, and topic. You can use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question as is.
예시 문장 (Example Sentence):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Happiness Research Center on 1,000 adult men and women about 'the reasons for raising pe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ep 2: 본론 쓰기 (Writing the Body)
본론에서는 그래프에 나타난 결과를 순서대로 설명합니다. 가장 큰 수치부터 작은 수치 순서로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In the body, you describe the results shown in the graph in order. It's common to write from the highest figure to the lowest.
예시 문장 (Example Sentences):
조사 결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장 큰 이유는 '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biggest reason for raising pets was 'because of loneliness', which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at 45%.
다음으로 '
Next, 'because I like animals' followed at 30%, and the response 'recommendation from others' was 15%.
Step 3: 결론 쓰기 (Writing the Conclusion)
결론에서는 나타난 결과의 원인을 분석하거나 전망을 제시합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지 간단히 추측해 보세요.
In the conclusion, you analyze the cause of the results or present a prospect. Briefly speculate on why such results emerged.
예시 문장 (Example Sentence):
This result seems to be because as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 people feeling lonely seek emotional comfort through pets.
모범 답안 (Model Answer)
행복 연구소에서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유'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외로워서'라는 응답이 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동물을 좋아해서'가 30%를 차지했고, '주변의 추천'은 15%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현대인들이 느끼는 외로움이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며 정서적 안정을 찾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오늘의 쓰기 팁 (Today's Writing Tip)
1. 구조를 기억하세요 (Remember the Structure): 서론(소개) → 본론(결과 설명) → 결론(원인 분석/전망). 이 틀만 지켜도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문어체 사용 (Use Written Form): '-습니다/ㅂ니다'가 아닌 '-다', '-(ㄴ/는)다'로 문장을 끝내는 연습을 하세요.
3. 다양한 연결 표현 (Various Connecting Phrases): '그리고, 그리고'만 반복하지 말고, '그 뒤를 이어', '다음으로', '또한' 등 다양한 표현을 활용해 보세요.
📚 필수 어휘 (Essential Vocabulary)
- 실시하다: to conduct, to carry out
- 응답: response, answer
- 차지하다: to account for, to occupy
- 그 뒤를 잇다: to follow next
- 분석되다: to be analyzed
- 1인 가구: single-person household
- 정서적 안정/위안: emotional stability/comfort
더 알아보기 (Learn More)
Q53 쓰기 실력을 더 키우고 싶다면 이전 학습 내용을 복습해 보세요.
TOPIK 60일 코스 전체 과정표
- 1일차: 챌린지 시작! 기본 단어 & 문법 ① [cite: 2]
- 2일차: 첫 듣기 연습 & 기초 단어 복습
- 3일차: Q51 맛보기 & 기본 문장 만들기
- 4일차: 필수 단어 & 문법 ②
- 5일차: 듣기: 주제 파악 & 문법 복습
- 6일차: Q52 맛보기 & 간단 연결 표현
- 7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③
- 8일차: 듣기: 세부 정보 & 누적 복습
- 9일차: Q53: 그래프 제목/항목/수치 읽기
- 10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④
- 11일차: 듣기: 장소/시간 정보 & 단어 활용 복습
- 12일차: Q51: 자연스러운 끝맺음 연습
- 13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⑤
- 14일차: 듣기: 이유/목적 파악 & 문법 활용 복습
- 15일차: Q52: 빈칸 채우기 기초
- 16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⑥
- 17일차: 듣기: 제안/권유 & 누적 복습
- 18일차: Q53: 변화 추이 설명 ①
- 19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⑦
- 20일차: 듣기: 감정/상태 파악 & 단어 복습
- 21일차: Q51 실전 연습
- 22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⑧
- 23일차: 듣기: 짧은 뉴스/공지 & 누적 복습
- 24일차: Q52: 빈칸 채우기 ②
- 25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⑨
- 26일차: 듣기: 간접적인 정보 & 단어/문법 활용
- 27일차: Q53: 변화 추이 설명 ②
- 28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⑩
- 29일차: 듣기: 어려운 표현 유추 & 누적 복습
- 30일차: Q51/52 종합 연습
- 31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⑪ (간접화법)
- 32일차: 듣기: 전체 내용 요약 & 단어 복습
- 33일차: Q53: 비교 설명
- 34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⑫
- 35일차: 듣기: 시사/사회 주제 맛보기 & 누적 복습
- 36일차: Q52: 문맥 파악 & 알맞은 표현 넣기
- 37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⑬
- 38일차: 듣기: 의견/주장 파악 & 단어/문법 활용
- 39일차: Q53: 원인/결과 설명 [cite: 9]
- 40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⑭
- 41일차: 듣기: 긴 지문 도전 & 누적 복습
- 42일차: Q51/52 심화 연습
- 43일차: 핵심 단어 & 문법 ⑮
- 44일차: 듣기: 실전처럼 & 단어/문법 총정리
- 45일차: Q53: 해결 방안/전망 제시 기초
- 46일차: 누적 단어/문법 최종 점검 ①
- 47일차: 듣기 실전 모의고사 (짧게)
- 48일차: 쓰기: Q51/52 실전 모의 연습
- 49일차: 누적 단어/문법 최종 점검 ②
- 50일차: 읽기 실전 연습 맛보기
- 51일차: Q53 전체 쓰기 연습 ① (쉬운 주제)
- 52일차: 듣기/읽기 혼합 연습
- 53일차: Q53 전체 쓰기 연습 ② (조금 더 어려운 주제)
- 54일차: 누적 단어/문법 오답 노트 복습
- 55일차: 실전처럼: 듣기 + 읽기 (짧은 세트)
- 56일차: Q53 전체 쓰기 연습 ③ (실전처럼)
- 57일차: 총정리: 영역별 핵심 전략 복습
- 58일차: 최종 모의고사 (듣기/읽기)
- 59일차: 최종 모의고사 (쓰기 Q51, 52, 53)
- 60일차: 시험 전 최종 점검 & 마인드 컨트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