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Conquer the TOPIK Traps in 30 Days
24일차: 실전 모의고사 2회 (읽기, 듣기)
고난도 부비트랩 공략
Practical Mock Test 2 (Reading & Listening) - Conquering High-Difficulty Traps
핵심 어휘
1. 자기 계발 (自己啓發) (Self-development)
의미: 자신의 지식, 기술, 능력 등을 스스로 발전시키는 것. (Meaning: To improve one's own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by oneself.)
예문: 자기 계발을 위해 퇴근 후 외국어 학원에 다닙니다. (I go to a foreign language academy after work for self-development.)
2. 과도하다 (過度-) (Excessive, unreasonable)
의미: 정도가 지나치다. (Meaning: To be too much or beyond a reasonable limit.)
예문: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때문에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I'm having a hard time because of excessive work stress.)
핵심 문법
1. -아/어/여야 하다 (must, have to)
의미: 어떤 행위가 필수적임을 나타내는 표현. '~해야 하다'와 같은 의미이다. (Meaning: An expression indicating that an action is necessary. It has the same meaning as '~해야 하다'.)
예문: 이 문제는 깊이 있게 분석해야 해요. (You must analyze this problem in depth.)
2. -(으)면서 (while, as)
의미: 두 가지 이상의 행동이나 상태가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내는 표현. (Meaning: An expression indicating that two or more actions or states happen at the same time.)
예문: 저는 음악을 들으면서 공부해요. (I study while listening to music.)
이 시리즈는 TOPIK에서 틀리기 쉬운 함정 문제를 분석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30일 작전의 3단계, '실전 적용 및 최종 점검' 단계의 핵심인 고난도 문제 풀이 시간입니다. TOPIK 5, 6급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들이 특히 주의해야 할 고난도 함정들을 직접 경험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공략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The purpose of this series is to analyze and overcome the tricky trap questions that are easy to get wrong on the TOPIK test. Today is a crucial day in Phase 3 of our 30-day plan: "Practical Application and Final Review." We will tackle high-difficulty questions that learners aiming for TOPIK Levels 5 and 6 should be particularly careful about. You will directly experience high-difficulty traps and learn how to effectively tackle them.
세트 1. 듣기: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라
다음 대화를 듣고 남자가 여자에게 부탁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남) 김 과장님, 이번 신제품 홍보 문구 말인데요. 기존에 저희가 쓰던 방식이랑은 좀 다르게, 좀 더 젊은 세대의 감성을 담아야 할 것 같은데... 아무리 생각해도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네요.
(여) 아, 네. 그런데 마침 제가 어제 관련 시장 트렌드를 분석하면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정리해 뒀거든요.
(남) 아, 그러세요? 혹시 그 자료 저한테 좀 보내주실 수 있으세요? 제가 참고해서 다시 한 번 정리해 볼게요. 정말 감사합니다!
1) 신제품 홍보 문구 작성에 대한 조언을 구하고 있다.
2) 젊은 세대 감성을 담은 아이디어를 요청하고 있다.
3) 시장 트렌드 분석 자료를 공유해 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4) 김 과장이 정리한 아이디어를 그대로 사용하려 한다.
정답 및 해설
정답: 3) 시장 트렌드 분석 자료를 공유해 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남자는 처음에는 홍보 문구에 대한 고민을 이야기하지만, 여자가 '관련 시장 트렌드를 분석하면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정리해 뒀다'고 말하자 그 자료를 보내달라고 직접적으로 부탁합니다. 남자가 궁극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은 '아이디어'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자료'임을 파악해야 합니다. 2번은 남자가 원하는 내용이긴 하지만, 대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직접적으로 부탁하는 내용은 아닙니다.
Answer: 3) He is asking her to share the market trend analysis data.
The man initially talks about his 고민 (concern) regarding the promotional copy, but when the woman mentions that she has "organized some ideas while analyzing relevant market trends," he directly asks her to send him that specific data. You must understand that what the man ultimately needs is not the "ideas" themselves, but the "data" to get those ideas. Although option 2 is a topic the man wants to discuss, it is not what he directly asks for at the end of the conversation.
함정 포인트 (Trap Point):
1. 지문의 첫 부분만 듣고 판단하기 (Judging from only the beginning of the text): 남자가 '젊은 세대 감성을 담은 아이디어'를 떠올리지 못한다고 말하는 초반부에 집중하면 2번을 고르기 쉽습니다. 하지만 대화의 끝부분에서 남자의 최종적인 행동(부탁)에 주목해야 합니다. (If you focus on the beginning where the man says he can't come up with ideas for the younger generation, it's easy to choose option 2. However, you must pay attention to the man's final action (the request) at the end of the conversation.)
2. 추측성 답변 피하기 (Avoid speculative answers): 4번은 '그대로 사용하려 한다'는 추측성 내용으로, '참고해서 다시 한 번 정리해 보겠다'는 남자의 말과 다릅니다. (Option 4 is a speculative statement, "intends to use it as is," which contradicts the man's line, "I'll refer to it and organize it again.")
세트 2. 읽기: '지나친 일반화' 함정 파악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직장인 대부분은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기 계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은 퇴근 후 학원이나 온라인 강의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운동이나 취미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사람들도 많았는데, 이들은 주로 퇴근 후 동료들과 함께 활동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와 같은 자기 계발과 스트레스 해소 활동은 직장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 자기 계발을 하는 직장인의 대부분은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2) 직장인들은 외국어 학습을 자기 계발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한다.
3) 퇴근 후 자기 계발을 하는 직장인은 절반 이상이 온라인 강의를 활용한다.
4)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운동을 하는 직장인들은 동료들과 함께하는 것을 좋아한다.
정답 및 해설
정답: 2) 직장인들은 외국어 학습을 자기 계발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한다.
지문은 '외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자기 계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습니다. '가장 높았다'는 관심의 정도를 나타낼 뿐, 중요성의 순위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1번은 '대부분은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라고 명시되어 있어 일치하고, 3번은 '절반 이상은 온라인 강의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4번 역시 '주로 퇴근 후 동료들과 함께 활동하는 것을 선호했다'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2번은 '가장 높았다'는 표현을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지나친 일반화로 바꿔 함정을 만든 것입니다.
Answer: 2) Office workers consider foreign language learning to be the most important part of self-development.
The text states that "interes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was the highest." However,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it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self-development." "Highest" only indicates the level of interest, not the order of importance. Option 1 matches the text's statement that "most office workers do self-development to increase work efficiency." Option 3 matches the text that "over half use online lectures." Option 4 also aligns with the text that "they mainly preferred to do activities with colleagues after work." Option 2 creates a trap by excessively generalizing the phrase "was the highest" into "the most important par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최상급' 표현의 함정 (The trap of 'superlative' expressions): '가장 ~하다', '최고의 ~', '모두'와 같이 극단적인 최상급 표현을 사용해 함정을 만듭니다. 지문 내용과 정확히 일치하는지, 혹은 논리적 비약이 없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Most ~', 'the best ~', 'all' are extreme superlative expressions used to create traps. You must carefully check if the statement exactly matches the text and if there are any logical leaps.)
세트 3. 읽기: '결과만 보고 원인 오해' 함정 공략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 '힐링'을 목적으로 하는 여행이 인기를 얻고 있다. 과거에는 여행의 주된 목적이 '관광'이나 '쇼핑'과 같은 활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이제는 일상에서 벗어나 조용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며 마음의 안정을 얻으려는 경향이 강해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 사회의 과도한 경쟁과 스트레스가 심화되면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즉, 여행의 형태가 바뀌는 것은 단순히 개인적인 선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변화에 따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1) 젊은 층의 여행 경향이 다양해지고 있다.
2) 현대 사회의 스트레스가 힐링 여행의 원인이 되고 있다.
3) 마음의 안정을 얻기 위해 조용한 여행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4) 과거와 달리 관광보다 휴식을 위한 여행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정답 및 해설
정답: 2) 현대 사회의 스트레스가 힐링 여행의 원인이 되고 있다.
글의 핵심은 젊은 층이 '힐링 여행'을 선호하게 된 이유, 즉 '원인'에 있습니다. 지문은 '현대 사회의 과도한 경쟁과 스트레스가 심화되면서'라는 구문을 통해 힐링 여행의 유행이 사회적 스트레스에서 기인했음을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1, 3, 4번은 모두 지문의 '내용'을 담고 있지만, 글 전체의 '주제'는 아닙니다. 특히 3번과 4번은 힐링 여행의 '결과'나 '특징'을 설명하는 내용으로, '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는지에 대한 원인 분석이라는 글의 주제를 놓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Answer: 2) Modern societal stress is becoming the cause of healing trips.
The core of the text lies in the reason, or "cause," why the younger generation is preferring "healing trips." The text clearly states that the popularity of healing trips is caused by societal stress, using the phrase "as excessive competition and stress in modern society intensify." Options 1, 3, and 4 all contain information from the text, but they are not the main "topic." Options 3 and 4, in particular, describe the "results" or "characteristics" of healing trips, which are traps that make you miss the text's theme of analyzing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기 (Confusing cause and effect): 지문에서 '원인'과 '결과'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글의 주제를 묻는 문제에서는 '왜' 그 현상이 나타났는지, 즉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You mus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cause' and 'effect' in the text. When a question asks for the topic of the text, it is crucial to identify 'why' the phenomenon occurred, i.e., the 'cause'.)
세트 4. 읽기: '그럴듯한 오답' 함정 공략
다음 글을 읽고,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려동물 용품 중에서도 영양제나 사료 등 건강 관련 제품에 대한 지출이 가장 크게 늘었다. 이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이 성장하면서 반려동물 관련 제품의 구매가 더욱 편리해졌고, 이를 통해 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1) 온라인 쇼핑몰의 발달은 반려동물 시장 확대에 영향을 주었다.
2)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생각하는 문화가 시장 성장의 원인이다.
3) 반려동물 용품 중 영양제나 사료에 대한 소비가 가장 많이 늘었다.
4) 1인 가구의 증가는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과 관련이 없다.
정답 및 해설
정답: 4) 1인 가구의 증가는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과 관련이 없다.
이 문제는 지문에 나온 단어를 그대로 사용해 그럴듯하게 보이지만, 지문의 내용과 완전히 반대되는 내용을 담고 있는 함정입니다. 지문은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명시하고 있으므로, 둘 사이에는 명확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이 없다'는 4번은 틀린 내용입니다. 1, 2, 3번은 모두 지문과 일치하는 내용입니다.
Answer: 4)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s not related to the growth of the pet market.
This question uses words directly from the text to make the option sound plausible, but it's a trap that contains a statement that is the exact opposite of the text's content. The text explicitly states that "the pet market is growing rapidly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so there is a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herefore, option 4, which claims they are "not related," is incorrect. Options 1, 2, and 3 all align with the content of the tex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단어'는 같지만 '의미'가 다른 함정 (The trap of same words, different meanings): 지문의 핵심 단어('1인 가구', '반려동물 시장')는 그대로 가져왔지만, 그 관계성('증가', '성장' vs. '관련이 없다')을 정반대로 서술합니다. 단어만 보고 성급하게 판단하지 않고, 문장 전체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The core words ('single-person households,' 'pet market') are taken directly from the text, but their relationship ('increase,' 'growth' vs. 'not related') is stated in the opposite way. You must not rush to judge based on the words alone, but accurately grasp the meaning of the entire sentence.)
세트 5. 듣기: '내용 일치/불일치' 미세 차이 함정 극복
다음 대화를 듣고, 남자의 생각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여) 요즘 직장인들은 퇴근 후에도 개인 시간을 가지려고 야근을 꺼리는 경향이 있대요.
(남) 저도 그 생각에는 동의해요. 예전처럼 무작정 야근을 많이 한다고 해서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고요. 오히려 충분한 휴식이 있어야 일에 더 집중할 수 있지 않을까요?
(여) 맞아요. 회사에서도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서, 불필요한 야근을 줄이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아요.
1) 야근을 해야 업무 생산성이 높아진다.
2) 퇴근 후 개인 시간을 갖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3) 충분한 휴식이 업무 집중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4) 요즘 직장인들은 개인 시간보다 야근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정답 및 해설
정답: 3) 충분한 휴식이 업무 집중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남자는 "무작정 야근을 많이 한다고 해서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고요. 오히려 충분한 휴식이 있어야 일에 더 집중할 수 있지 않을까요?"라고 말하며 자신의 생각을 드러냅니다. 이는 '충분한 휴식이 업무 집중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3번 내용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1, 2, 4번은 모두 남자의 생각과 반대되거나 지문에 언급되지 않은 내용입니다. 특히 1번은 '야근을 많이 한다고 해서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다'라는 남자의 말과 완전히 반대되는 내용입니다.
Answer: 3) Sufficient rest helps increase work concentration.
The man expresses his opinion by saying, "Working a lot of overtime doesn't necessarily increase productivity. On the contrary, don't you think you can focus on work more if you get enough rest?" This statement perfectly matches option 3, which says that sufficient rest helps increase work concentration. Options 1, 2, and 4 are either contrary to the man's opinion or not mentioned in the text. Option 1, in particular, is the complete opposite of the man's statement that "working a lot of overtime doesn't necessarily increase productivity."
함정 포인트 (Trap Point):
'반대 내용'의 함정 (The trap of 'opposite content'): 지문에 나온 핵심 문장을 살짝 바꿔 반대 의미로 만드는 함정입니다. (예: '~ 아니다'를 빼고 '야근을 해야 한다'로 바꾸기). 대화의 핵심 주장과 반대되는 선택지는 정답이 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This is a trap that slightly alters a key sentence from the text to create an opposite meaning. (e.g., changing '~not' to '~have to work overtime'). You must remember that options with content opposite to the main argument of the conversation cannot be the correct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