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 KOREAN from public service ads(40) '보인다, 보여!' : 📺 보이스피싱 예방 Korean PSA for Voice Phishing Prevention
심청전 공익광고
보이스피싱 예방 한국어
Korean PSA for Voice Phishing Prevention with Simcheong
이 광고는 고전 소설 심청전을 현대적으로 각색하여 보이스피싱 예방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아버지를 위해 공양미를 구하던 심청이에게 보이스피싱 사기범이 접근하며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사기범은 공양미 대출을 해주겠다며 먼저 수수료를 보내달라고 요구하고, 이에 심청은 의심을 품게 됩니다. This advertisement modernizes the classic novel Simcheongjeon to deliver a message about voice phishing prevention. The story begins when a voice phishing scammer approaches Simcheong, who is trying to acquire 'gongyangmi' (offerings of rice) for her father. The scammer promises a gongyangmi loan but demands a fee first, which makes Simcheong suspicious.
광고는 이 과정을 통해 대출 사칭 사기, 메신저 피싱, 금융 범죄 연루 사기 등 다양한 보이스피싱 수법들을 보여줍니다. 심청은 각 상황에 현명하게 대처하며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고, 마침내 사기 수법을 깨닫게 됩니다. 광고는 '전화 끊고 확인하기'를 강조하며, 마지막에 보이스피싱 신고 번호인 112를 안내합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ad shows various voice phishing methods such as loan impersonation scams, messenger phishing, and financial crime involvement scams. Simcheong wisely handles each situation, prevents voice phishing, and eventually realizes the scam tactics. The ad emphasizes "hanging up and checking" and concludes by providing the voice phishing report number, 112.
✏️ 한국어 교육용 대사Dialogu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핵심 어휘 & 문법 학습Core Vocabulary & Grammar Study
'수법'은 주로 범죄나 부정적인 행위에 사용되는 방법이나 솜씨를 의미합니다. '사기 수법', '범행 수법'처럼 쓰이며,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묘한 방법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수법' primarily refers to the method or skill used for a crime or negative act. It is used to describe clever or cunning ways to achieve a certain goal, as in '사기 수법' (scam methods) or '범행 수법' (criminal methods).
'연루되다'는 어떤 사건이나 범죄에 관련되거나 얽히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부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며,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좋지 않은 일에 휘말리는 경우에 씁니다. '연루되다' means to be involved or entangled in a certain incident or crime. It is primarily used in a negative context, referring to being caught up in a bad situation unintentionally.
'출두하다'는 관청이나 관할 기관에 스스로 찾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찰서나 법원 등에 '출석하다'는 의미와 비슷하며, 특히 수사나 심문을 위해 가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출두하다' means to go and present oneself voluntarily to an official government office or jurisdiction. It is similar to '출석하다' (to attend) and is especially used when one goes for an investigation or interrogation.
'-(아/어)야 하다'는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을 나타내는 표현에 '-는데'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해야 하지만'이라는 의미로 뒤에 다른 상황이나 제안이 이어질 때 사용됩니다. This is a combination of '-(아/어)야 하다' (must/have to) and the connective ending '-는데' (but/and). It implies 'I have to do this, but...' and is used when another situation or suggestion follows.
'-(아/어)야지'는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한다'는 의무나 당위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주로 혼잣말처럼 사용하거나, 상대방에게 당연한 일을 상기시킬 때 쓰입니다. '-(아/어)야지' is an expression that emphasizes the obligation or necessity of something that is "of course" right to do. It is often used as a monologue or to remind someone of something obvious.
'-(으)ㄴ/는구나'는 어떤 사실을 새롭게 깨닫거나 놀랐을 때 사용되는 감탄형 종결 어미입니다. '아, 그렇구나!', '와, 놀랍다!'와 같은 느낌을 나타냅니다. This is a conclusive ending used to express a feeling of new realization or surprise about a fact. It conveys a feeling similar to 'Oh, I see!' or 'Wow, that's surprising!'.
✏️ 복습 연습문제Review Practice Questions
A) 요리법 B) 공부법 C) 사기 D) 예술 1. Which word is most closely related to '수법'?
A) Recipe B) Study method C) Scam D) Art
친구가 어려운 일을 겪고 있으니, 내가 당연히 도와( ).
A) 야 되는데 B) 야지 C) 다면 D) 느냐 2. Choose the correct expression for the blank in the sentence.
My friend is going through a hard time, so of course I ( ) help.
A) should, but... B) must C) if I help D) do I help?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