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This blog introduces strategic and essential keywords for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or Korean business.
기성세대
Gi-seong-se-dae
Established Generation
요즘 젊은이들은 기성세대와는 사고방식이 많이 다른 것 같아요.
It seems that the way young people think these days is very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generation.
회사에서는 기성세대와 MZ세대 간의 소통을 위한 워크숍을 열었습니다.
The company held a workshop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the established generation and the MZ generation.
기성세대의 경험과 젊은 세대의 아이디어가 결합되면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When the experience of the established generation and the ideas of the younger generation are combined, better results can be achieved.
단어분석
기성(旣成): 이미 만들어져 있음. '이미 기(旣)'와 '이룰 성(成)'이 합쳐진 단어로, 이미 이루어진, 형성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세대(世代): 같은 시대에 태어나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집단.
따라서 기성세대는 이미 사회를 이루고 주도권을 가진 세대, 즉 사회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나이 든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키워드 설명 문단
기성세대는 주로 현재 사회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장년층 이상의 세대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 단어는 젊은 세대와 대조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경험과 전통을 중시하는 경향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가치관 차이나 소통 문제를 논할 때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키워드입니다. 특히 직장이나 공적인 자리에서 세대 간의 문화를 설명할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The term Gi-seong-se-dae (Established Generation) mainly refers to the generation of people in middle age or older who currently form the core of society. This word is often used in contrast to the younger generation and is employed to describe a tendency to value experience and tradition. In Korean society, it is an important keyword that frequently appears when discussing differences in values or communication issues between the established generation and the younger generation. It is particularly useful when explaining inter-generational culture in the workplace or in forma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