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51번! How to prepare?
TOPIK II 쓰기 영역 51번
Pilot Test Questions for TOPIK II Writing Type 51
머리말Introduction
안녕하세요! 한국어능력시험(TOPIK) II 쓰기 영역의 51번 유형을 저 그레이스(Grace)와 마이크(Mike)가 함께 풀어보겠습니다. 51번 문제는 짧은 실용문에서 빈칸을 채우는 문제인데요. 글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문맥에 맞는 표현을 쓰는 것이 중요하죠. 각 문제를 살펴보고 해설과 함께 모범답안도 바로바로 확인해 봐요!
Hello! We are Grace and Mike, and we will study TOPIK II Writing Type 51 together. Question 51 is a fill-in-the-blank question in a short practical text.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ext well and use expressions that fit the context. Let's look at each question and check the explanation and model answer right away!
문제, 해설 및 모범답안Problem, Explanation, and Model Answer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쓰십시오.
Please write the most appropriate content to fill in the blank ( ).
문제 1.Problem 1
분실물센터 운영 시간 변경 안내
안녕하세요.
교내 분실물센터 운영 시간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변경 전: 월요일~금요일 9:00~18:00
변경 후: 월요일~토요일 9:00~18:00
토요일에도 분실물을 찾거나 맡기실 수 있으니 이용에 ( ).
문의: 02-xxx-xxxx
그레이스 Grace
자, 첫 번째 문제예요! 이건 분실물센터 운영 시간이 바뀌었다는 안내문이네요. 핵심은 토요일에도 이용이 가능해졌다는 거예요. 마지막 문장에서 "이용에 ( )"라고 했죠? 변경된 정보를 잘 알고 이용해달라는 의미가 들어가야 자연스러워요. 보통 이런 안내문에서는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라는 표현을 자주 씁니다.
Alright, here's the first question! This is a notice about changes in the lost and found center's operating hours. The key point is that it's now available on Saturdays too. In the last sentence, it says "이용에 ( )". This needs a phrase asking people to be aware of the change when using the service. In notices like this, expressions like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please make no mistake) or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lease refer to this) are often used.
✅ 문법 1. -기 바랍니다Grammar 1. -gi baramnida
-기 바랍니다 (gi baramnida)
Meaning: 'Please do something' (a formal request or wish)
공적인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부탁하거나 바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This expression is used in formal situations to politely ask or wish for something from the other person.
1. 안전을 위해 천천히 걷기 바랍니다.
2. 출입 시에는 학생증을 제시하기 바랍니다.
📝 어휘 1. 착오Vocabulary 1. chago
착오 (chago) [차고]
Meaning: mistake, error, misunderstanding
일이나 계획에서 잘못되거나 틀린 부분을 의미합니다. 주로 공지문에서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It means a wrong or incorrect part in a task or plan. It is mainly used in notices as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Please do not make a mistake).
1. 서류에 착오가 있어서 다시 확인해야 해요.
2. 죄송합니다. 주소 착오로 배송이 늦어졌습니다.
모범답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습 문제
연습 문제 1
다음 주부터 회의 장소가 2층 회의실로 변경됩니다. 모든 직원은 변경된 장소를 ( ).
문제 2.Problem 2
[제목] 주문 내용 확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미입니다.
어제 온라인으로 주문한 옷의 사이즈를 변경하고 싶어서 연락드렸습니다.
현재 S 사이즈로 주문했는데, M 사이즈로 ( ).
확인하시고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마이크 Mike
다음은 제가 설명할 2번 문제예요. 김수미 씨가 온라인 주문한 옷 사이즈를 바꾸고 싶어서 보내는 글이네요. S 사이즈를 M 사이즈로 바꿔 달라고 부탁하는 상황이에요. 빈칸 앞뒤 문장을 보면 상대방에게 무엇인가를 '요청'하는 표현이 와야 하겠죠? '바꾸다'나 '변경하다'라는 동사를 사용해서 정중하게 요청하는 표현을 만들면 됩니다.
Next is Problem 2, which I will explain. This is a message from Kim Sumi asking to change the size of clothes ordered online. It's a situation where she is asking to change the size from S to M. Looking at the sentences before and after the blank, an expression requesting something from the other person should fit in the blank. You need to use verbs like '바꾸다' (to change) or '변경하다' (to change) and create a polite request expression.
✅ 문법 2. -아/어 주십시오Grammar 2. -a/eo jusipsio
-아/어 주십시오 (a/eo jusipsio)
Meaning: 'Please do something for me' (a very polite command/request)
상대방에게 자신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해달라고 매우 정중하게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동사 어간에 붙습니다.
This is used to make a very polite and formal request to someone to do something for you. It is attached to a verb stem.
1. 이 서류를 복사해 주십시오.
2.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 어휘 2. 변경하다Vocabulary 2. byeongyeonghada
변경하다 (byeongyeonghada) [변경하다]
Meaning: to change, to alter, to modify
무엇의 내용, 상태, 시간 등을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공적인 상황이나 문서에서 사용됩니다.
It means to change or alter the content, state, or time of something. It is mainly used in official situations or documents.
1. 예약 시간을 변경하고 싶습니다.
2. 새로운 주소로 변경해 주세요.
모범답안: 바꿔 주십시오 / 변경해 주십시오
연습 문제
연습 문제 2
다음 주 수요일로 예정된 회의를 금요일로 ( ).
문제 3.Problem 3
교내 식당 이용 안내
우리 대학교 식당에서는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매일 신선한 재료로 식사를 제공합니다.
식당 이용 시간은 점심 11:30~13:30, 저녁 17:00~19:00이며, 주말과 공휴일에는 ( ).
많은 이용 바랍니다.
그레이스 Grace
세 번째 문제입니다! 이건 학교 식당 이용 안내문이네요. 평일 식사 시간을 알려주고 나서 "주말과 공휴일에는 ( )"라고 했어요. 보통 학교 식당이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운영을 안 하는 경우가 많죠? 그 사실을 알려주는 내용이 들어가야 문맥이 자연스럽습니다.
Here is the third question! This is a notice about using the school cafeteria. After informing the weekday meal times, it says "주말과 공휴일에는 ( )". Usually, school cafeterias don't operate on weekends and public holidays, right? So, content informing about that fact should be included to make the context natural.
✅ 문법 3. -지 않습니다Grammar 3. -ji ansseumnida
-지 않습니다 (ji ansseumnida) [지 안씁니다]
Meaning: 'Do not...' (formal negation)
어떤 사실이나 상태가 그렇지 않음을 정중하고 공식적으로 부정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This expression is used to formally and officially negate a fact or state, indicating that it is not the case.
1. 이 제품은 물에 녹지 않습니다.
2. 저는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 어휘 3. 운영하다Vocabulary 3. unyeonghada
운영하다 (unyeonghada) [운영하다]
Meaning: to operate, to manage
기관이나 시설, 시스템 등을 관리하고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t means to manage and use an institution, facility, or system.
1. 이 회사는 식당을 운영하고 있어요.
2. 도서관은 매일 9시부터 운영합니다.
모범답안: 운영하지 않습니다 / 영업하지 않습니다 / 쉽니다
문제 4.Problem 4
이지훈 팀장님께
안녕하세요. 홍보팀 김태희입니다.
요청하신 다음 분기 홍보 계획서 초안이 완성되었습니다.
확인해 보실 수 있도록 팀장님 이메일로 ( ).
검토 후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마이크 Mike
이제 4번 문제 차례입니다. 김태희 씨가 이지훈 팀장님께 업무 보고를 하는 글이에요. 요청하신 보고서 초안이 다 만들어져서 이메일로 '보냈다'는 내용을 전달해야 합니다. "팀장님 이메일로 ( )"라고 했으니, 보내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에 존댓말을 쓰고 이미 보낸 상황이니까 과거 시제를 사용해야겠죠.
Now it's time for Problem 4. This is a message from Kim Taehee reporting to Team Leader Lee Jihoon about work. She needs to convey that the draft of the requested promotion plan is finished and has been sent by email. Since it says "팀장님 이메일로 ( )", a past tense expression using honorific language with a verb indicating the act of sending is needed.
모범답안: 보내 드렸습니다 / 발송했습니다
문제 5.Problem 5
온라인 교육 시스템 점검 안내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온라인 교육 시스템 정기 점검을 실시합니다.
점검 시간: X월 X일 (요일) XX:XX ~ XX:XX
점검 시간 중에는 시스템 접속이 ( ).
이용에 불편이 예상되오니 미리 작업 내용을 저장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레이스 Grace
마지막 문제입니다! 이건 시스템 점검 안내문이네요. 점검 시간 동안 시스템을 이용하는 상태에 대한 설명이 빈칸에 와야 해요. "점검 시간 중에는 시스템 접속이 ( )"라고 되어 있죠? 시스템 점검 중에는 보통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하죠. 그런 상황을 나타내는 표현이 들어가야 합니다.
This is the last question! This is a notice about system maintenance. An explanation of the state of system access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should go in the blank. It says "점검 시간 중에는 시스템 접속이 ( )". During system maintenance, access is usually difficult or impossible, right? An expression indicating such a situation should be included.
모범답안: 불가능합니다 / 제한됩니다 /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