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10) : 체크리스트 확인 Creating a 'Booby Trap Checklist' for Each Trap Type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10일차) | TOPIK TRAP BREAKTHROUGH 30-DAY MISSION (Day 10)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10일차)

TOPIK TRAP BREAKTHROUGH 30-DAY MISSION (Day 10)
TOPIK 시험 함정 문제 유형을 분석하며 오답 노트를 작성하는 학습자의 이미지

함정 문제 유형별 '부비트랩 체크리스트' 작성

Creating a 'Booby Trap Checklist' for Each Trap Type

TOPIK 시험을 준비하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30일 작전의 첫 번째 단계인 '함정의 실체 파악하기'의 마지막 날입니다. 오늘은 지난 9일간 배운 다양한 함정 문제 유형을 총정리하고, 자신만의 '부비트랩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이 체크리스트는 단순히 오답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자신이 어떤 함정에 자주 빠지는지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Hello, everyone preparing for the TOPIK exam! Today marks the final day of the first stage of our 30-day mission,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raps." Today, we will summarize the various trap question types we've learned over the past nine days and learn how to create our own 'Booby Trap Checklist.' This checklist will be a great help not only for recording incorrect answers but also for analyzing which traps you frequently fall into and formulating a strategy to overcome them.


실전 문제 풀이 (Practice Problems)

지금부터 지난 9일간 학습한 함정 유형들을 다시 한번 되짚어보며 실제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각 문제 아래에 해설과 함정 분석이 바로 이어집니다.
From now on, we will review the trap types we've learned over the past 9 days and solve actual problems. The solution and trap analysis will follow directly below each question.

세트 1 (Set 1)

다음 글을 읽고,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람들의 야외 활동이 크게 줄었다. 특히 스포츠 시설과 공원 이용률이 급감하면서 관련 업계가 큰 타격을 입었다. 하지만 최근 방역 조치가 완화되자 야외 활동을 다시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야외 활동의 증가는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① 코로나19 때문에 스포츠 시설 이용률이 증가했다.
② 방역 조치 완화 이후 야외 활동이 줄어들었다.
③ 야외 활동 증가는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④ 관련 업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이익을 보았다.
⑤ 공원 이용률은 팬데믹 이전보다 지금 더 많이 줄었다.

정답: ③

함정 포인트: '반전의 묘미' 함정 (5일차)

이 문제는 '하지만'이라는 역접 접속사를 파악하는 문제입니다. 글의 앞부분에서는 야외 활동이 줄었다고 말하지만, 뒷부분에서는 늘었다고 반전됩니다. 따라서 섣불리 앞 문장만 보고 '야외 활동이 줄었다'고 결론 내리면 오답에 빠지기 쉽습니다. 문맥 전체를 읽고 글의 흐름이 어디로 바뀌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rap Point: The 'Twist' Trap (Day 5)

This question requires you to identify the adversative conjunction, '하지만' (but/however). The first part of the text states that outdoor activities decreased, but the latter part reverses this, saying they are increasing again. Therefore, if you jump to the conclusion that 'outdoor activities have decreased' based only on the first sentence, you are likely to fall into the trap. It is important to read the entire context and understand where the flow of the text changes.


세트 2 (Set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직장인 박민수 씨는 출근길에 항상 편의점에 들러 아침 식사를 해결한다. 덕분에 시간을 아낄 수 있고, 식단도 자유롭게 고를 수 있어 만족스러워했다. 그러나 최근 편의점 음식에 첨가된 보존료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기사를 접한 후, 식습관에 대한 걱정이 커졌다. 이처럼 간편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는 편리함과 건강 사이에서 _________ 과제가 주어졌다.

① 균형을 유지하는
② 한 가지를 선택하는
③ 비용을 절감하는
④ 속도를 높이는
⑤ 맛을 포기하는

정답: ①

함정 포인트: '빈칸 채우기' 맥락 함정 (12일차)

이 문제는 빈칸 앞뒤 문맥을 통해 정답을 찾아야 하는 '빈칸 채우기' 유형의 함정입니다. '편리함'과 '건강'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가치가 제시되었고, 이 사이에서 고민하는 상황이므로, 이 둘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의 '균형을 유지하는'이 가장 적절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지문의 핵심적인 내용과 동떨어져 있습니다.


Trap Point: The 'Fill-in-the-Blank' Context Trap (Day 12)

This is a 'fill-in-the-blank' trap type that requires finding the answer by understanding the context around the blank. The passage presents two conflicting values: 'convenience' and 'health.' Since the situation involves a dilemma between these two, '균형을 유지하는' (maintaining a balance) is the most appropriate choice, as it implies considering both. Other options are irrelevant to the core content of the text.


세트 3 (Set 3)

다음 ( ) 안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가) 저는 발표할 때 목소리가 작아서 전달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자주 받습니다.
(나) 발표 내용을 미리 외워서 연습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 따라서 발표 연습을 할 때 목소리 크기 조절에 신경을 써야겠습니다.
(라) 이와 함께 녹음기를 사용해 자신의 목소리를 점검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① (나)-(가)-(다)-(라)
② (가)-(다)-(라)-(나)
③ (다)-(가)-(나)-(라)
④ (가)-(라)-(나)-(다)
⑤ (라)-(나)-(가)-(다)

정답: ②

함정 포인트: '문장 순서 배열' 힌트 함정 (13일차)

이 유형은 연결어(따라서)와 지시어(이와 함께)를 통해 문장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에서 '목소리가 작아서 전달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제시되고, (다)에서 '따라서'라는 연결어를 통해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목소리 크기 조절)이 이어집니다. 이후 (라)의 '이와 함께'는 (다)에서 제시된 해결책에 추가적인 방법을 덧붙이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나)는 다른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글을 마무리합니다.


Trap Point: The 'Sentence Ordering' Hint Trap (Day 13)

In this type of question,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logical flow of the sentences by using connective words like '따라서' (therefore) and demonstratives like '이와 함께' (along with this). Sentence (가) presents a problem: 'My voice is too small when presenting, which decreases clarity.' Sentence (다) then uses '따라서' to provide a solution to that problem (paying attention to voice volume). Next, (라) uses '이와 함께' to add another solution. Finally, (나) presents another effective method, concluding the text.


세트 4 (Set 4)

다음 대화를 듣고 여자가 말한 의도를 고르십시오.

(여자) 부장님, 오늘까지 제출해야 할 보고서인데, 아직도 20페이지나 남았어요.
(남자) 그럼, 제가 조금 도와드릴까요? 아니면 제가 할까요?
(여자) 아니요, 괜찮습니다. 제가 책임지고 끝내겠습니다.
(남자) 알겠어요. 힘내서 끝내봐요.

① 보고서를 빨리 끝내고 싶어한다.
② 보고서 작성에 대한 도움을 거절하고 있다.
③ 보고서 내용에 대해 부장님께 질문한다.
④ 보고서 작성이 어려워 도움을 요청한다.
⑤ 남자에게 보고서 작성을 맡기고 싶어한다.

정답: ②

함정 포인트: '말의 의도' 파악 함정 (14일차)

이 문제는 여자가 한 말 '아니요, 괜찮습니다. 제가 책임지고 끝내겠습니다.'의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는 문제입니다. 이 말은 남자의 도움 제안에 대한 직접적인 거절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표면적으로 '괜찮다'고 말하며, '제가 책임지고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Trap Point: The 'Intention of Speech' Trap (Day 14)

This question requires you to understand the hidden intention behind the woman's words, '아니요, 괜찮습니다. 제가 책임지고 끝내겠습니다.' (No, thank you. I will finish it responsibly.) This phrase is a direct refusal of the man's offer to help. The key is that she says '괜찮습니다' (I'm okay) on the surface, while showing her will to take responsibility and finish it herself.


세트 5 (Set 5)

다음 내용을 읽고, ( )에 들어갈 단어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2025년 기준, 한국의 1인당 커피 소비량은 연평균 377잔으로, 이는 세계 평균(132잔)보다 약 2.8배 ( ) 수치이다. 특히 20대와 30대 젊은 층의 커피 소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커피 가격 상승과 건강을 생각하는 트렌드가 맞물려 커피 소비량 증가율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① 높은
② 낮은
③ 비슷한
④ 적은
⑤ 많은

정답: ①

함정 포인트: '숫자놀이' 함정 (6일차)

이 문제는 수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비교해야 하는 '숫자놀이' 함정입니다. 한국의 1인당 커피 소비량(377잔)이 세계 평균(132잔)보다 2.8배나 많다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빈칸에는 '높은'이 가장 적절합니다. '많은'은 의미상 비슷해 보이지만, 비교 대상이 제시되었으므로 '높은'이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Trap Point: The 'Number Play' Trap (Day 6)

This question is a 'number play' trap that requires you to accurately grasp and compare the figures. Since the text provides the information that South Korea's per capita coffee consumption (377 cups) is 2.8 times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132 cups), '높은' (high/higher) is the most appropriate word for the blank. '많은' (many/much) may seem similar in meaning, but because a comparison is given, '높은' is a more precise expression.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역접 접속사 (Adversative Conjunction)

앞 문장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주는 접속사입니다. 대표적으로 '하지만', '그러나', '그런데', '그렇지만' 등이 있습니다. TOPIK 읽기 시험에서 글의 흐름이 바뀌는 중요한 단서가 되므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These are conjunctions that connect a sentence with a contrasting or opposite idea.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하지만' (but/however), '그러나' (but), '그런데' (by the way/but), and '그렇지만' (but/however). In the TOPIK reading exam, they serve as an important clue for where the flow of the text changes, so you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m.

예시 (Example)

날씨는 매우 좋았다. 하지만 바람이 너무 강해서 여행하기에는 좋지 않았다.

The weather was very nice. However, the wind was too strong, so it wasn't good for traveling.

지시어 (Demonstrative)

'이', '그', '저'와 같이 특정 사물이나 개념, 문장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문장 순서 배열 문제에서 '이것', '그것', '이와 함께'와 같은 지시어는 앞 문장의 내용을 정확히 지칭하므로, 논리적 연결 고리를 찾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hese are words like '이' (this), '그' (that), and '저' (that over there) that point to a specific object, concept, or sentence. In sentence ordering questions, demonstratives like '이것' (this thing), '그것' (that thing), and '이와 함께' (along with this) refer to the content of the preceding sentence, playing a crucial role in finding the logical connection.

예시 (Example)

그는 매일 아침 운동을 시작했다. 이것은 그의 건강을 위한 첫걸음이었다.

He started exercising every morning. This was the first step for his health.


핵심 문법 (Core Grammar)

-아/어서 (-a/eoseo)

앞 문장이 뒤 문장의 원인이나 이유가 될 때 사용합니다. 주로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 그 이유를 설명합니다.
“A-아/어서 B” (Because A, B): A가 B의 원인/이유이다.

This is used when the first clause is the cause or reason for the second clause. It is mainly attached to verbs or adjectives to explain the reason.
“A-a/eoseo B” (Because A, B): A is the cause/reason for B.

예시 (Example)

날씨가 좋아서 기분이 좋다.

I'm happy because the weather is good.

-에 따르면 (-e ttareumyeon)

무엇인가에 근거하여 어떤 사실을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뉴스나 통계 자료를 인용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자료/정보에 따르면 ~” (According to the data/information, ~)

This is used to convey a fact based on something. It is a common expression used when citing news or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the data/information, ~”

예시 (Example)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만족한다고 답했습니다.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80%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TOPIK #한국어능력시험 #TOPIK함정 #TOPIK독학 #오답노트 #TOPIKTRAP #KOREANEXAM #ERRORLOG #LEARNKOREAN #KOREANSTUDY #टॉपिक #कोरियाईभाषा #कोरियाईव्याकरण #TOPIKतैयारी #कोरियाईअध्यय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