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 (Topik focused): 일자리 창출 / Job Creation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Killer Korean in 60 Seconds
1분안에 끝내는 고급한국어
정부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신산업 분야에서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고 있다.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job creation in new industrial sectors to revitalize the economy.
성공적인 기업은 단순히 이윤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 사회에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야 한다.
Successful companies must contribute to job creation in society, beyond simply pursuing profit.
외국인 노동자 유입 정책은 특정 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olicies for attracting foreign worker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 creation in specific industries.
단어분석
일자리 (Iljari) : 일할 수 있는 자리나 직업. (A place or position for work; a job.)
창출 (Changchul) : 새로운 것을 처음으로 만들어 냄. (The act of creating something new for the first time.)
고용 (Goyong) : 사람을 채용하여 일을 맡김. (Employment; hiring a person to work.)
일자리 창출 설명문단
일자리 창출은 한국 사회에서 경제 정책의 핵심 목표 중 하나입니다. 높은 청년 실업률과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혁신적인 기술 분야인 스타트업 및 벤처 기업 지원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양질의 고용 기회를 확대하려 합니다.
Job creation is one of the key goals of economic policy in Korean society. In response to high youth unemployment and demographic changes,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continuously emphasize efforts to create new jobs. Specifically, they aim to secure future growth engines and expand quality employment opportunities by supporting innovative technology sectors, such as startups and venture companies.
📰 핫한 취업 뉴스: 넓게 열린 일자리 (Hot Job News: Wide Open Job)
일자리 창출은 단순히 수적인 증가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근로 환경이 개선된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정부는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모두에서 투자와 규제 완화를 통해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이것이 결국 고용 증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려 합니다. 이 과정에서 외국인 인력 유입 정책 역시 인력 부족 현상을 해소하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검토됩니다.
Job creation does not simply mean a numerical increase; it places importance on creating 'quality jobs' with improved working conditions. The government seeks to build a virtuous cycle by promoting corporate growth through investment and deregulation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which in turn leads to increased employment. In this process, policies for attracting foreign workers are also reviewed as an important means to resolve labor shortages and contribute to new job creation.
💼 E-9 비자 외국인 근로자 취업 전략 (E-9 Job Strategy for Foreign Workers)
따라서 이 키워드는 뉴스, 정책 토론, 경제 보고서 등 다양한 공식적인 맥락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며, 한국 사회의 안정과 성장을 논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주제입니다. 특히, 일자리 창출은 경제 성장률, 투자 유치, 노동 시장의 유연성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과 연결되어 논의됩니다.
Therefore, this keyword is frequently used in various official contexts such as news, policy debates, and economic reports, and is an essential topic when discussing the stability and growth of Korean society. Specifically, job creation is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complex factors, including economic growth rate, investment attraction,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일자리 창출'은 주로 정책, 경제적 성과, 사회적 책임 등의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 ▶️ 정부 정책을 설명할 때: "이 프로젝트는 5천 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 ▶️ 기업의 성과를 강조할 때: "우리 회사는 올해 가장 많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 ▶️ 논의 주제를 제시할 때: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