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hrases 30 for Topik Level 3 (8) : '--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다 ' .'~-에 힘쓰다'

Key phrases 30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Day 8 | 최저 임금과 일자리 창출

Key phrases 30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Essential Korean Phrases for TOPIK Level 3 (Day 8)

Day 8: 최저 임금과 일자리 창출 Minimum Wage and Job Creation

이 시리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여러분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이 되는 구문과 표현을 교육합니다. (This series teaches the core phrases and expressions essential for learners aiming for TOPIK Level 3.) 30일 동안 하루에 한 프로그램씩 소개하고 문제해결법을 공유합니다. (Over 30 days, we introduce one program daily and share problem-solving methods.)

핵심 어휘 및 문법 분석 Core Vocabulary and Grammar Analysis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최저 임금(最低賃金) [choe-jeo im-geum] (N.)

의미: 근로자에게 주어야 하는 최소한의 법정 임금. (**Minimum Wage**)

활용: 최저 임금을 받다, 최저 임금 인상/삭감. (To receive the minimum wage, increase/cut the minimum wage)

예문: 정부는 내년부터 시간당 최저 임금을 인상할 계획을 발표했다. (The government announced a plan to raise the hourly minimum wage starting next year.)

일자리 창출(일자리 創出) [il-ja-ri chang-chul] (N.)

의미: 새로운 직업이나 고용 기회를 만들어내는 것. (**Job Creation/Generation**)

활용: 청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창출 정책에 기여하다. (Job creation for youth, to contribute to job creation policy)

예문: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는 많은 수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Active investment in companies results in the creation of jobs.)

핵심 문법 (Core Grammar)

-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다 [-e dae-han u-ryeo-ga hwak-san-doe-da] (Exp.)

의미: 어떤 부정적인 상황에 대한 걱정이나 염려가 널리 퍼지다. (주로 경제/사회 문제에서 사용) (**Concerns/worries about - spread/are amplified**)

활용: 경기 침체 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다, 부작용 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다. (To have spreading concerns about an economic recession, to have spreading concerns about side effects)

예문: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가계 부채 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Due to the rapid interest rate hike, concerns about household debt are spreading.)

-에 힘쓰다 [-e- him-sseu-da] (Exp.)

의미: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다. (주로 긍정적인 목적에 사용) (**To strive for, to devote oneself to**)

활용: 경제 성장 에 힘쓰다, 고용 안정 에 힘쓰다. (To strive for economic growth, to strive for employment stability)

예문: 정부는 중소기업을 지원하여 일자리 창출에 힘쓰고 있다. (The government is striving for job creation by suppor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함께 보면 좋은 글] E-9 Job Strategy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E-9 비자 취업 전략 (E-9 Job Strategy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실전 문제 풀이 (Practical Problem Solving)

실전 문제 풀이를 통해 핵심 구절을 익혀봅시다. (Let's master the core phrases through practical problem-solving.)

세트 1. Key Phrase: 최저 임금

[문제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

정치권에서는 영세 자영업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_______)의 급격한 인상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In the political arena, there is an argument that the rapid pace of increase of (_______) should be controlled to reduce the burden on small business owners.)

  1. 이자율
  2. 최저 임금
  3. 물가 지수
  4. 환율 변동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b

해설: 영세 자영업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비용 중 가장 큰 부담이 되는 것은 법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급여, 즉 '최저 임금'입니다. 따라서 임금 인상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의 대상으로는 '최저 임금'이 가장 적절합니다.

Analysis: The biggest cost burden that small business owners face in paying their workers is the legally mandated minimum salary, which is the 'Minimum Wage (최저 임금)'. Therefore, 'Minimum Wage' is the most appropriate subject for the argument that the pace of salary increases should be controlled.

세트 2. Key Phrase: 일자리가 창출되다 / -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다

[문제 2]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Read the following text and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s.)

정부가 규제 완화를 통해 새로운 투자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경기 침체로 인해 기업들의 활동이 위축되면서 (_______)이/가 (_______)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The government is trying to attract new investment by easing regulations, but the phenomenon of (_______) being (_______) is still occurring as corporate activity shrinks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1. 경쟁력 / 확보
  2. 사회 갈등 / 증가
  3. 일자리 / 창출되지
  4. 복지 혜택 / 누려지지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문맥상 '경기 침체', '기업 활동 위축'이라는 부정적인 상황 때문에 생기는 결과가 필요합니다. 이는 고용 시장의 악화로 이어지므로 '일자리가 창출되지 않다'는 내용이 되어야 하며, '창출되다'의 부정형인 '일자리가 창출되지'가 가장 적절합니다.

Analysis: The context requires a result caused by the negative situation of 'economic downturn' and 'shrinking corporate activity'. This leads to a worsening of the employment market, so the meaning should be that 'jobs are not being created'. The phrase '일자리가 창출되지 (jobs are not being created)', the negative form of '창출되다', is the most appropriate.

세트 3. 실전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문제 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사용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을 고르시오. (Choose the sentence in which the use of the underlined part is the most natural.)

  1. 고급 인력의 유출은 국가 경쟁력 에 힘쓰는 결과를 유발한다.
  2. 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최저 임금이 동결되자 시민들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3. 정부의 강력한 규제 정책은 오히려 일자리 창출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4. 환경 보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다 보니, 기업들은 경쟁력을 잃었다.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b

해설: a) '힘쓰다'는 '노력하다'의 뜻으로, '결과를 유발한다'와 같이 쓰이지 않습니다.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가 자연스럽습니다. b)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최저 임금'이 동결되면, 생계 어려움 '에 대한 우려가 확산'될 수 있습니다. 문맥상 자연스럽습니다. c) 규제는 보통 기업 활동을 위축시켜 일자리 창출을 어렵게 하므로, '오히려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는 데 기여했다'가 문맥상 더 자연스럽습니다. d) '우려가 확산되다'는 주로 사회/경제 문제에 대한 걱정이 퍼질 때 사용하며, 뒷문장인 '기업 경쟁력 상실'과 직접적인 인과 관계가 부족합니다.

Analysis: a) '힘쓰다 (to strive for)' is not used in the structure '결과를 유발한다 (causes a result)'. 'Is striving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is more natural. b) When the 'Minimum Wage (최저 임금)' is frozen despite rising prices, 'concerns about' living difficulties 'spread'. (Correct) c) Regulations usually hinder corporate activity and make job creation difficult, so 'rather contributed to inhibiting job creation' is more natural in the context. d) The phrase 'concerns about preservation spread' is not a direct cause of 'companies losing competitiveness'; the connection is weak and unnatural.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나 표현을 넣어보세요. (Fill in the blanks with the appropriate words or expressions.)

1. 정부는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___________)에 (___________) 있다.

2. 청년들의 미래 생활비 문제 (__________) 우려가 (___________)고 있다.

3. 아르바이트생들은 매년 오르는 (___________) 수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답 예시: 1. 일자리 창출, 힘쓰고 / 2. 에 대한, 확산되 / 3. 최저 임금) (Answer Examples: 1. job creation, striving for / 2. about, spreading / 3. minimum wage)

오늘의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더 깊고 넓은 한국어 세상으로 GO!

Based on today's learning, GO to a deeper and broader world of Korean!

GO TO FURTHER & DEEPER
#TOPIK3급 #한국어문법 #핵심구절30 #최저임금 #일자리창출 #노동경제 #TOPIK어휘 #한국어능력시험 #실전문제 #한국어독해 #TOPIKLevel3 #KoreanGrammar #CorePhrases #MinimumWage #JobCreation #LaborEconomics #KoreanExpressions #TOPIKPractice #KoreanReading #EssentialKorean #KoreanStudy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mastering(4) : K DRAMA '멜로가 체질' + topik essential

K-Drama 🏋️힘쎈 여자 도봉순으로 배우는 한국어(1) '~ 게 되다.' Learn Korean with Strong Woman Do Bong Soon

당신이 곧 만나게 될 Korean movie (명작, masterpiece) "어쩔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by Park Chan-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