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hrases 30 for Topik Level 3 (7) : '- 을(를) 제공하다', ' ~을/를 누리다 '

Key phrases 30 for Topik 3급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Day 7 | 노동력 제공과 복지 혜택

Key phrases 30
Essential Korean Phrases for TOPIK Level 3 (Day 7)

Day 7: 노동력 제공과 복지 혜택 Labor Provision and Social Welfare

이 시리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여러분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이 되는 구문과 표현을 교육합니다. (This series teaches the core phrases and expressions essential for learners aiming for TOPIK Level 3.) 30일 동안 하루에 한 프로그램씩 소개하고 문제해결법을 공유합니다. (Over 30 days, we introduce one program daily and share problem-solving methods.)

[연관 글] 이주 노동자와 관련된 더 많은 한국어 표현을 확인하세요: E-9 비자 관련 한국어 표현: E-9 Job Strategy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핵심 어휘 및 문법 분석 Core Vocabulary and Grammar Analysis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노동력(勞動力) [no-dong-nyeok] (N.)

의미: 일할 수 있는 능력이나 일에 투입되는 사람의 힘. (**Labor/Manpower**)

활용: 노동력을 제공하다, 노동력 부족 문제. (To provide labor, labor shortage issue)

예문: 이 지역은 제조업에 필요한 숙련된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다. (This region provides skilled labor required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복지 혜택(福祉 惠澤) [bok-ji hye-taek] (N. Exp.)

의미: 국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국가나 사회가 제공하는 이익이나 도움. (**Welfare Benefits**)

활용: 복지 혜택을 누리다, 복지 혜택을 확대하다. (To enjoy welfare benefits, to expand welfare benefits)

예문: 근로자들은 마땅히 받아야 할 다양한 복지 혜택을 누릴 권리가 있다. (Workers have the right to enjoy various welfare benefits they are entitled to.)

핵심 문법 (Core Grammar)

-을/를 제공하다 [-eul/reul je-gong-ha-da] (Exp.)

의미: 필요한 것이나 원하는 것을 내어 주다. (**To provide, to offer**)

활용: 일자리를 제공하다, 정보를 제공하다. (To provide a job, to provide information)

예문: 정부는 실업자들에게 직업 훈련 프로그램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The government is providing job training program participation opportunities to the unemployed.)

-을/를 누리다 [-eul/reul nu-ri-da] (V.)

의미: 생활 속에서 어떤 혜택이나 특권을 받아 즐기다. (**To enjoy, to be privileged with**)

활용: 자유를 누리다, 평화를 누리다. (To enjoy freedom, to enjoy peace)

예문: 모든 국민은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를 누릴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All citizens' right to enjoy basic medical services must be guaranteed.)

[함께 보면 좋은 글] 외국인 노동자 E-9 비자 관련 한국어 표현: E-9 Job Strategy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실전 문제 풀이 (Practical Problem Solving)

실전 문제 풀이를 통해 핵심 구절을 익혀봅시다. (Let's master the core phrases through practical problem-solving.)

세트 1. Key Phrase: 노동력을 제공하다

[문제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

산업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은 한국 사회의 성장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_______)을/를 (_______)하고 있다. (Foreign workers in industrial sites are (_______) essential (_______) for the growth of Korean society.)

  1. 복지 혜택 / 누리고
  2. 사회적 갈등 / 유발하고
  3. 노동력 / 제공하고
  4. 일자리 / 모색하고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외국인 근로자가 '산업 현장에서' 하는 행위는 '성장에 없어서는 안 될' 긍정적인 기여여야 합니다. 따라서 '노동력''제공하다'가 문맥상 가장 자연스럽고 적절합니다.

Analysis: The action of foreign workers 'in industrial sites' must be a positive contribution that is 'essential for growth.' Therefore, '노동력을 제공하다 (to provide labor/manpower)' is the most natural and appropriate in the context.

세트 2. Key Phrase: 복지 혜택을 누리다

[문제 2]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Read the following text and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

국민으로서 세금을 성실히 납부하는 것은 의무이지만, 동시에 국가가 제공하는 다양한 (_______)을/를 (_______)할 권리가 있다. (Paying taxes diligently as a citizen is an oblig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re is a right to (_______) various (_______) provided by the state.)

  1. 최저 임금 / 결정할
  2. 취업 기회 / 확보할
  3. 사회 문제 / 해소할
  4. 복지 혜택 / 누릴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d

해설: 국가가 제공하는 '다양한' 이익을 받는 행위는 '권리'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복지 혜택'은 국가가 제공하는 이익을 의미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즐기는 행위는 '누릴'이 가장 적절합니다.

Analysis: The act of receiving 'various' benefits provided by the state must be connected to a 'right.' '복지 혜택 (Welfare Benefits)' refers to the benefits provided by the state, and '누릴 (to enjoy)' is the most appropriate verb to describe the act of actively utilizing and enjoying them.

세트 3. 실전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문제 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사용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을 고르시오. (Choose the sentence in which the use of the underlined part is the most natural.)

  1. 기업은 새로운 일자리를 누릴 의무가 있다.
  2. 젊은 세대의 노동력을 제공하다는 쉽지 않은 일이다.
  3.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 혜택은 점점 축소되어야 한다.
  4. 우리는 성실하게 세금을 납부하여 의료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d

해설: a) 일자리는 '제공'하는 것이지 '누릴' 대상이 아닙니다. 일자리를 '창출할' 또는 '제공할'이 자연스럽습니다. b) '노동력을 제공하다'는 구절 자체가 서술어의 역할을 하므로 명사화된 표현인 '노동력 제공은'이 자연스럽습니다. c) 복지 혜택은 축소(줄이는 것)가 아닌 확대(늘리는 것)가 사회적 목표이므로 부자연스럽습니다. d) 세금 납부의료 혜택(복지 혜택의 일종)을 받을 수 있는 근거가 되며, '누리다'는 그 혜택을 이용한다는 의미로 자연스럽습니다. (Correct)

Analysis: a) Jobs are 'provided,' not 'enjoyed.' 'To create' or 'to provide' a job is natural. b) The phrase '노동력을 제공하다' functions as a predicate. The nominalized form '노동력 제공은' is natural. c) Reducing welfare benefits is generally against the goal of social welfare. 'Expanded' would be more natural. d) Paying taxes is the basis for enjoying medical benefits (a type of welfare benefit). The usage is natural. (Correct)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나 표현을 넣어보세요. (Fill in the blanks with the appropriate words or expressions.)

1. 기업은 근로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다양한 (___________)도 (___________)해야 한다.

2. 청년들은 꿈을 이루기 위해 자신의 (___________)을/를 아낌없이 (___________).

3. 우리는 정당한 대가를 받고 일하며, 그에 따른 (___________)을/를 (___________) 권리가 있다.

(정답 예시: 1. 복지 혜택, 제공 / 2. 노동력, 제공한다 / 3. 복지 혜택, 누릴) (Answer Examples: 1. welfare benefits, provide / 2. labor, provide / 3. welfare benefits, enjoy)

[다음 글 보기] Day 8 학습으로 이어가세요: Key phrases 30 Day 8 | 노동 시장과 경제 성장

오늘의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더 깊고 넓은 한국어 세상으로 GO!

Based on today's learning, GO to a deeper and broader world of Korean!

GO TO FURTHER & DEEPER
#TOPIK3급 #한국어문법 #핵심구절30 #노동력제공 #복지혜택 #근로 #사회복지 #TOPIK어휘 #한국어능력시험 #실전문제 #TOPIKLevel3 #KoreanGrammar #CorePhrases #LaborProvision #WelfareBenefits #KoreanExpressions #TOPIKPractice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mastering(4) : K DRAMA '멜로가 체질' + topik essential

K-Drama 🏋️힘쎈 여자 도봉순으로 배우는 한국어(1) '~ 게 되다.' Learn Korean with Strong Woman Do Bong Soon

당신이 곧 만나게 될 Korean movie (명작, masterpiece) "어쩔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by Park Chan-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