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15) 내용의 작은 차이에 주목하세요: Listening: Overcoming the 'Content Match/Discrepancy' Subtle Trap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15일차) | TOPIK TRAP BREAKTHROUGH 30-DAY MISSION (Day 15)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15일차)

TOPIK TRAP BREAKTHROUGH 30-DAY MISSION (Day 15) 구독 (Subscribe) CTRL+D
TOPIK 듣기 문제에서 내용 불일치 함정을 극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이미지

주제: 듣기: '내용 일치/불일치' 미세 차이 함정 극복

(Theme: Listening: Overcoming the 'Content Match/Discrepancy' Subtle Trap)

TOPIK 듣기에서 가장 많은 수험생이 틀리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내용 일치/불일치' 문제입니다. 지문 속 단어와 비슷한 단어를 사용하거나, 정보의 일부를 바꾸어 놓아 정답처럼 보이게 하는 함정이 자주 등장합니다. 오늘 우리는 이러한 미세한 차이를 구별하는 훈련을 통해 함정을 극복하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One of the most common questions test-takers get wrong in the TOPIK Listening section is the 'content match/discrepancy' question. Traps frequently appear that use similar words from the passage or alter a part of the information to make it look like the correct answer. Today, we will learn how to overcome these traps by training to distinguish these subtle differences.


실전문제풀이: 세트 1

1. 다음 대화를 듣고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여자) 우리 동네 도서관이 이번 주부터 운영 시간을 연장한대요. 원래 밤 9시까지였는데, 앞으로는 밤 10시까지 개방한대요.

(남자) 잘됐네요! 직장인들은 퇴근하고 가기 힘들었는데, 이제는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겠어요.

① 도서관 운영 시간은 9시에서 10시로 줄었다.

② 도서관은 주말에만 운영 시간을 연장한다.

③ 도서관 운영 시간이 한 시간 늘어났다.

④ 남자도 도서관 운영 시간 연장에 반대한다.

정답: ③

해설 및 분석 (Analysis & Explanation)

대화에서 여자는 원래 밤 9시까지였던 운영 시간이 밤 10시까지로 바뀐다고 말합니다. 이는 운영 시간이 1시간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며, 3번 선택지가 이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1번 선택지는 '줄었다'고 표현하여 반대되는 내용이고, 2번은 '주말에만'이라는 정보가 틀렸습니다. 4번은 남자가 '잘됐다'고 긍정적으로 반응했으므로 틀렸습니다.
In the conversation, the woman says that the operating hours, which were originally until 9 PM, have changed to 10 PM. This means that the operating hours have been extended by one hour, which exactly matches option 3. Option 1 is incorrect because it says the hours were 'reduced,' which is the opposite. Option 2 is wrong because the 'only on weekends' information is incorrect. Option 4 is incorrect because the man reacted positively, saying 'That's great.'

🚨 함정 포인트 (Trap Point)

1번 선택지는 '9시', '10시'라는 숫자를 그대로 사용해서 듣기 내용과 비슷하게 들리지만, 방향성(줄었다 vs. 늘었다)이 틀린 함정입니다. 단순히 숫자에만 집중하지 말고 변화의 방향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Option 1 uses the numbers '9' and '10' directly from the passage, making it sound similar, but it is a trap because the direction of change (reduced vs. extended) is incorrect. You must not only focus on the numbers but also accurately grasp the direction of the change.


실전문제풀이: 세트 2

2. 다음 방송을 듣고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남) 우리 시에서는 환경 보호를 위해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자 ‘나무 심기 행사’를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는 다음 달 첫째 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시청 앞 공원에서 진행됩니다. 참가 신청은 이번 주 금요일까지 시청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① 행사는 다음 달 첫째 주 토요일에 열린다.

② 참가 신청은 시청 홈페이지에서만 가능하다.

③ 행사는 두 시간 동안 진행된다.

④ 행사 장소는 시청 공원이다.

정답: ②

해설 및 분석 (Analysis & Explanation)

방송에서 남자는 “참가 신청은 이번 주 금요일까지 시청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홈페이지'가 신청 방법 중 하나임을 말하는 것이지, '홈페이지에서만' 가능하다고 한정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2번 선택지는 방송 내용과 불일치합니다. 1번('다음 달 첫째 주 토요일'), 3번(10시~12시, 두 시간), 4번('시청 앞 공원')은 모두 방송 내용과 일치합니다.
In the broadcast, the man said, "You can apply to participate on the city hall website until this Friday." This only states that the 'website' is one of the application methods and does not limit it to 'only' the website. Therefore, option 2 is inconsistent with the broadcast content. Options 1 ('the first Saturday of next month'), 3 (two hours, from 10 AM to 12 PM), and 4 ('the park in front of city hall') all match the broadcast.

🚨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시청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라는 문장에 '만'이라는 단어가 붙어 범위를 한정하는 순간, 원래의 내용과 달라집니다. '~만', '~밖에', '오직'과 같은 한정 표현이 포함된 선택지는 지문과 꼼꼼히 비교해야 하는 함정입니다.
The moment the word '만' (only) is added to the sentence 'You can do it on the city hall website,' the scope is restricted, making it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ntent. Options that contain limiting expressions like '~만' (only), '~밖에' (nothing but), or '오직' (exclusively) are traps that must be carefully compared with the passage.


실전문제풀이: 세트 3

3. 다음 대화를 듣고 여자가 전하고 싶은 가장 중요한 내용을 고르십시오.

(남자) 아침부터 공기가 탁하네요. 미세먼지가 너무 심한 것 같아요.

(여자) 그러게요. 오늘 오전에는 '매우 나쁨' 단계였는데, 오후부터는 좀 나아질 거래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그래도 마스크를 쓰는 게 좋다고 하네요.

① 오늘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심하다.

② 미세먼지는 오후부터 좋아질 것이다.

③ 전문가들이 마스크를 쓰라고 권장하고 있다.

④ 미세먼지 때문에 공기가 탁하다.

정답: ③

해설 및 분석 (Analysis & Explanation)

이 문제는 단순한 내용 일치 여부를 넘어 여자가 가장 강조하고 싶은 메시지가 무엇인지 묻고 있습니다. 여자는 여러 정보를 제공하지만, 마지막에 "하지만 전문가들은 그래도 마스크를 쓰는 게 좋다고 하네요."라고 말하며 행동 지침을 제시합니다. 이는 듣는 사람에게 '마스크를 써라'는 권고를 전달하려는 가장 중요한 의도를 나타냅니다. 나머지 선택지들은 대화의 일부분일 뿐, 핵심적인 메시지는 아닙니다.
This question goes beyond a simple content match and asks for the most important message the woman wants to convey. The woman provides several pieces of information, but at the end, she says, "However, experts say it's still good to wear a mask," providing an action guideline. This indicates her most important intention is to convey the recommendation to 'wear a mask' to the listener. The other options are only parts of the conversation, not the core message.

🚨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런 유형의 문제는 모든 선택지가 지문에 나오는 내용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내용'을 고르라고 할 때는 화자가 가장 마지막에 강조하는 부분이나, 핵심적인 행동을 유도하는 내용을 찾아야 합니다. '하지만', '그래도'와 같은 역접 접속사 뒤의 내용에 특히 주목해야 합니다.
In this type of question, all options might be present in the passage. However, when asked to choose the 'most important content,' you must find the part that the speaker emphasizes at the very end or the content that guides a key action.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content after adversative conjunctions like '하지만' (but) and '그래도' (still).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연장하다 (To extend / To prolong)

의미: 원래 정해진 기간이나 시간을 더 늘리다.

Meaning: To increase the originally set period or time.

예문:

  • 도서관 이용 시간을 1시간 연장해 주세요.
  • 이번 프로젝트 기간을 한 달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독려하다 (To encourage / To stimulate)

의미: 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도록 용기를 북돋아 주거나 권하다.

Meaning: To encourage or urge someone to do a certain task or action.

예문:

  • 팀원들에게 목표 달성을 위해 열심히 하도록 독려했다.
  • 환경 보호 캠페인을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농도 (Concentration / Density)

의미: 어떤 용액이나 물질이 얼마나 진한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정도.

Meaning: The degree to which a solution or substance is concentrated.

예문:

  • 오늘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높습니다.
  • 소금물 농도가 너무 진해서 마시기 힘들어요.

핵심 문법 (Key Grammar)

~다고 하네요 (I heard that... / They say that...)

의미: 다른 사람이나 매체(뉴스, 전문가 등)로부터 들은 내용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간접 인용 표현입니다. 화자가 자신의 의견이 아닌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함을 나타냅니다.

Meaning: An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used to convey information heard from others or the media (e.g., news, experts). It indicates that the speaker is conveying objective information, not their own opinion.

예문:

  • 내일 비가 온다고 하네요. (They say it will rain tomorrow.)
  • 그 식당 음식이 정말 맛있다고 하네요. (I heard that the food at that restaurant is really delicious.)

~만 (only / just)

의미: 앞의 내용으로 범위를 한정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다른 가능성을 모두 제외하고 특정 대상만을 가리킵니다.

Meaning: Used to limit or emphasize the scope of the preceding content. It points to a specific subject, excluding all other possibilities.

예문:

  • 저는 커피 마셔요. (I only drink coffee.)
  • 이번 행사에는 회원 참여할 수 있습니다. (Only members can participate in this event.)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Questions)

1. 다음 대화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단어를 핵심 어휘 중에서 골라 쓰세요.

A: 오늘 마스크를 안 가져왔는데, 미세먼지 ___가 너무 높네요.

B: 네, 저도 그래서 걱정이에요.

2. 다음 문장을 핵심 문법을 활용하여 바꿔 쓰세요.

"뉴스에서 오늘 밤부터 기온이 내려간대요."

-> 오늘 밤부터 기온이 내려간___


GO TO FURTHER & DEEPER
#TOPIK #토픽 #한국어능력시험 #TOPIK듣기 #듣기함정 #내용일치 #불일치 #미세한차이 #한국어공부 #KoreanListening #TOPIKExam #ListeningTrap #ContentMatch #Discrepancy #KoreanStudy #TOPICKorean #KoreanLanguage #TOPIKLevel4 #TOPIKLevel5 #KoreanLanguageTrap #कोरियाई_भाषा #टोपिक #सुनना_परीक्ष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