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거 대사로 배우는 한국어Learn Korean with K-Drama 'Trigger' Dialogue
안녕하세요! 한국 드라마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배우는 시간입니다. 드라마 속 등장인물들의 생생한 대사를 통해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깊이 있게 이해해 볼까요?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함께 알아봅시다. 🎬
Hello! It's time to naturally learn Korean by watching K-dramas. Let's deeply understand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through the vivid dialogues of the characters in the drama. Let's find out how they are used in real-life situations. 🎬
오늘의 주인공들: 영웅 (Hero)과 지나가는 사람 1, 2
Today's Characters: Hero and Passersby 1, 2
1. "내가 다 찾아낼 테니까 기다려."I'll find everything, so just wait. [00:07]
[상황] 폭발이 일어난 건물 안, 영웅이 구조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강하게 말합니다.
[Situation] Inside a building after an explosion, the hero speaks strongly to people waiting for rescue.
어휘: 찾아내다 / 기다리다
Vocabulary: 찾아내다 (to find out, to discover) / 기다리다 (to wait)
찾아내다는 '찾다'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숨겨진 것을 끝까지 찾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찾아내다 is an emphatic form of '찾다' (to find), showing a strong will to find something hidden or lost until the end.
기다리다는 특정 상황이나 사람을 기대하며 시간을 보내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기다리다 means to spend time expecting a certain situation or person.
문법: -ㄹ/을 테니까
Grammar: -ㄹ/을 테니까
이 문법은 미래의 행동에 대한 화자의 강한 의지나 추측을 나타내며, 이것이 뒤에 오는 행동의 이유나 근거가 됨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This grammar pattern indicates the speaker's strong will or supposition about a future action, and explains that this action will be the reason or basis for the following action.
예시: 내가 밥을 할 테니까 너는 설거지해. (I'll cook, so you do the dishes.)
이와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한국어 능력 향상의 핵심, 동사 활용법
Recommended reading: The Key to Improving Your Korean: Verb Conjugation
2. "지금부터 제 얘기 잘 들으세요."From now on, listen to me carefully. [00:27]
[상황] 영웅이 건물 안 사람들을 통제하며 구조 방법을 설명합니다.
[Situation] The hero controls the people inside the building and explains the rescue method.
어휘: 지금부터 / 제 / 얘기 / 잘
Vocabulary: 지금부터 (from now on) / 제 (my) / 얘기 (story, talk) / 잘 (well, carefully)
지금부터는 '지금'이라는 시점을 시작으로 어떤 일이 진행될 것임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지금부터 emphasizes that something will proceed starting from the present moment.
제는 '저의'의 줄임말로, '저'는 '나'의 겸손한 표현입니다.
제 is a shortened form of '저의', where '저' is the humble form of '나' (I).
얘기는 '이야기'의 구어체 표현입니다.
얘기 is the colloquial form of '이야기' (story).
잘은 '듣다'를 수식하여 듣는 행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잘 modifies '듣다' (to list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act of listening.
문법: ~세요 (높임말 명령형)
Grammar: ~세요 (Polite imperative form)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정중하게 요청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하는 높임말 명령형입니다. '들으세요'는 '듣다'의 높임말 명령형입니다.
This is a polite imperative form used when respectfully asking or commanding someone to do something. '들으세요' is the polite imperative form of '듣다' (to listen).
3. "제 걱정 마시고 한 명이라도 더 살려야 된다 아시겠죠?"Don't worry about me, save one more person, okay? [00:44]
[상황] 영웅이 위험한 곳으로 향하려는 순간, 다른 사람들이 그를 말립니다. 영웅은 단호하게 말하며 구조를 재촉합니다.
[Situation] Just as the hero is about to head into a dangerous area, others try to stop him. The hero speaks firmly, urging them to continue the rescue.
어휘: 걱정 마시고 / 한 명이라도 / 살려야 된다 / 아시겠죠?
Vocabulary: 걱정 마시고 (don't worry) / 한 명이라도 (at least one person) / 살려야 된다 (must save) / 아시겠죠? (you understand, right?)
걱정 마시고는 '걱정하지 마시고'의 줄임말로, 상대방에게 걱정하지 말라고 부드럽게 지시하는 표현입니다.
걱정 마시고 is a shortened form of '걱정하지 마시고' (don't worry), used to politely instruct someone not to worry.
한 명이라도는 최소한의 수량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한 명이라도 is an expression that emphasizes a minimum quantity.
살려야 된다는 '살려야 한다'의 구어체로, 의무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살려야 된다 is the colloquial form of '살려야 한다' (must save), which emphasizes an obligation or necessity.
아시겠죠?는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내용을 재확인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아시겠죠? is a colloquial expression used to seek agreement or reconfirm understanding.
문법: ~지 마시고
Grammar: ~지 마시고 (Please don't...)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부탁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합니다. '걱정 마시고'는 '걱정하는 것'을 멈추라고 하는 의미입니다.
Used when asking or commanding someone not to do something. '걱정 마시고' means 'please stop worrying'.
다음 단계의 학습으로 이동: TOPIK 60일 학습 계획, 3일 차
Move on to the next learning step: TOPIK 60-Day Study Plan, Day 3
4. "아, 씨! 아무도 구하지 말라고!"Ah, damn it! Don't save anyone! [02:35]
[상황] 영웅이 위험한 곳으로 들어가려 하자, 지나가는 사람들이 그를 막으려 합니다. 영웅은 격양된 감정으로 소리칩니다.
[Situation] As the hero tries to enter a dangerous area, passersby try to stop him. The hero shouts with heightened emotion.
어휘: 아무도 / 구하다
Vocabulary: 아무도 (no one, nobody) / 구하다 (to save, to rescue)
아무도는 '어떤 사람도'라는 뜻으로, 주로 부정적인 서술어와 함께 사용됩니다.
아무도 means 'not a single person' and is typically used with a negative predicate.
구하다는 위험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구하다 means the act of helping someone in danger.
문법: 아무도 ~지 말라(고)
Grammar: 아무도 ~지 말라(고) (Don't let anyone...)
이 문법은 강한 부정 명령문입니다. '말라고'는 '~지 말라고 하다'의 줄임말로, 직접적으로 명령하거나 소리치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격양된 감정을 담은 구어체 표현입니다.
This is a strong negative imperative sentence. '말라고' is a shortened form of '~지 말라고 하다', a colloquial expression used in situations of direct commands or shouting, conveying heightened emotion.
더 깊이 있는 한국어 표현을 배우려면: 고급 한국어 문법과 표현 정리
For more in-depth Korean expressions: A Compilation of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
5. "들어가세요! 빨리!"Go in! Hurry! [02:47]
[상황] 영웅이 사람들에게 위험을 피해 건물 안으로 대피하라고 외칩니다.
[Situation] The hero shouts to the people, telling them to go inside the building to avoid danger.
어휘: 들어가세요 / 빨리
Vocabulary: 들어가세요 (please go in) / 빨리 (quickly, hurry)
들어가세요는 '들어가다'의 높임말 명령형으로, 상대방에게 들어가라고 정중하게 말합니다.
들어가세요 is the polite imperative form of '들어가다' (to go in), used to respectfully tell someone to go in.
빨리는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서두르는 모습을 강조하는 부사입니다.
빨리 is an adverb that emphasizes the act of hurrying without delay.
문법: 명령형 + !
Grammar: Imperative form + !
'~세요'와 같은 명령형 뒤에 느낌표(!)를 사용하면, 긴박하고 긴급한 상황을 나타내며 강하게 지시하는 의미가 됩니다.
Using an exclamation mark (!) after an imperative form like '~세요' indicates a tense and urgent situation, making the command stronger.
이 글을 통해 한국어 공부가 더 재미있어졌나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더 다양한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Did this post make learning Korean more fun? Click the link below to discover mor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