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Crazy funny : 오프라 윈프리? 오냐 (ok)박사!

엄마의 효도 콘서트와 할머니의 오냐 박사 | Mom's Filial Piety Concert and Grandma's "Doctor O-nya"

구독하기 | Subscribe Now

엄마의 효도 콘서트와 할머니의 오냐 박사

Mom's Filial Piety Concert and Grandma's "Doctor O-nya"

선행 학습 | Pre-learning

효도 (Hyodo) | Filial Piety

부모님을 잘 모시고 공경하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It means the act of serving and respecting one's parents well.

트로트 (Teuroteu) | Trot music

한국의 오래된 유행가 형식으로, 주로 중장년층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An old form of Korean popular music, which is very popular mainly among the middle-aged and older generations.

깜짝 놀라다 (Kkamjjak nollada) | To be startled, to be very surprised

갑작스러운 상황에 매우 놀라는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Used to express the feeling of being very surprised by a sudden situation.

-라는 줄 알았다 (raneun jul aratda) | I thought it was...

자신이 잘못 알고 있었던 사실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나는 그 사람이 의사인 줄 알았다'처럼 쓰입니다.
It is used when talking about a fact that you were mistaken about. It is used like 'I thought that person was a doctor.'

-는 바람에 (neun barame) | Because of (an unexpected/unwanted event)

예상치 못한 상황 때문에 어떤 결과가 초래되었을 때 사용합니다. 주로 부정적인 결과에 쓰입니다.
It is used when a certain result is caused by an unexpected situation. It is mainly used for negative results.

-다더니 (dadoni) | ...and then... (referring to something someone said)

남에게 들은 말이나 상황을 전달하면서 그에 따른 결과를 덧붙일 때 사용합니다. '덥다더니 비가 오기 시작했다'처럼 쓰입니다.
It is used when conveying something heard from someone else and adding the resulting outcome. It is used like 'You said it was hot, and then it started raining.'



세대 차이 때문에 벌어진 웃픈 이야기 | A Hilarious Story from a Generational Gap

이 영상은 세대 차이 때문에 벌어진 두 가지 웃픈 이야기 모음입니다. 첫 번째 이야기는 엄마와 아들 사이의 일입니다. 엄마가 아들에게 '효도 콘서트'를 같이 보자고 했는데, 아들은 'K-pop 콘서트'라고 잘못 듣고 좋아하며 보러 갔습니다. 하지만 TV에는 젊은 사람들이 아닌 트로트 가수들이 가득했고, 아들은 실망했다는 내용입니다.

This video is a collection of two sad but funny stories caused by a generational gap. The first story is about a mother and son. The mother asked her son to watch a 'Hyo-do (Filial Piety) Concert' together. The son, who mistakenly heard it as a 'K-pop concert,' was excited to watch it. However, the TV was filled with trot singers, not young people, and the son was disappointed.


두 번째 이야기는 할머니와 손자 사이의 일입니다. 손자가 TV로 오프라 윈프리 영상을 보고 있는데, 할머니가 화면을 보시더니 "저 사람 내가 아는 사람이다!" 라며 깜짝 놀라셨습니다. 손자는 할머니가 오프라 윈프리를 아시는 것에 놀랐는데, 할머니가 말하시길 그녀의 이름이 "오냐 박사"라고 하셨다는 이야기입니다. 알고 보니 할머니가 아는 사람은 유명한 의사 '오냐'였습니다.

The second story is about a grandmother and grandson. The grandson was watching a video of Oprah Winfrey on TV when the grandmother saw the screen and was very surprised, saying, "I know that person!". The grandson was surprised that his grandmother knew Oprah. The grandmother then said her name was "Doctor O-nya". It turned out the person the grandmother knew was a famous doctor named 'O-nya'.

구독하기 | Subscribe Now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superrealkorean, All rights reserved

#세대차이 #트로트 #오프라윈프리 #오냐박사 #엄마 #할머니 #웃픈이야기

#GenerationalGap #TrotMusic #OprahWinfrey #O-nyaPark-sa #Mom #Grandmother #SadButFunnyStory

#世代ギャップ #トロット #オプラウィンフリー #オニャ博士 #お母さん #おばあさん #悲しいけど面白い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