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Terminator: 7-Day Final Battle(2) _피동과 사동 마스터!
피동/사동 표현 완전 정복
Mastering Korean Passive/Causative Expressions
Intermediate Korean Grammar
안녕하세요! 한국어 학습에 열정을 가진 여러분, 오늘은 한국어 문법의 중요한 두 기둥,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에 대해 깊이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이 두 표현은 한국어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만들고 주어의 역할을 다양하게 나타내는 데 필수적입니다. 자, 이제 함께 그 복잡한 문법의 세계로 떠나볼까요?
Hello everyone! For those passionate about learning Korean, today we're going to dive deep into two crucial pillars of Korean grammar: passive expressions and causative expressions. These two expressions are essential for enriching the meaning of Korean sentences and showing various roles of the subject. Shall we now embark on a journey into their complex grammatical world together?
Clicking on ads greatly helps in content creation.
피동 표현이란? (Passive Expressions)
피동 표현은 주어가 어떤 동작을 직접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주체에 의해 그 동작을 당하거나 영향을 받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영어의 수동태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Passive expressions are used when the subject does not perform an action directly, but rather receives or is affected by that action by another agent. It is similar to the passive voice in English.
💡 피동사의 형태 (Forms of Passive Verbs)
대부분의 동사는 동사 어간에 -이-, -히-, -리-, -기- 접미사를 붙여 피동사로 만듭니다. 불규칙적인 형태도 존재합니다.
Most verbs are made passive by attaching the suffixes -이-, -히-, -리-, -기- to the verb stem. Irregular forms also exist.
보다 (to see) → 보이다 (to be seen)
먹다 (to eat) → 먹히다 (to be eaten)
듣다 (to hear) → 들리다 (to be heard)
안다 (to hug) → 안기다 (to be hugged/held)
그럼 '문이 열리다'는 피동 표현인가요?
So, is '문이 열리다' (the door opens/is opened) a passive expression?
네, 맞아요. 문이 스스로 여는 게 아니라 어떤 힘에 의해 열리는 것이니까 피동 표현이죠. '누군가가 문을 열었다'는 능동이고, '문이 열렸다'는 피동입니다.
Yes, that's right. The door doesn't open by itself; it is opened by some force, so it's a passive expression. 'Someone opened the door' is active, and 'The door opened/was opened' is passive.
예문 (Examples)
- 경찰에게 범인이 잡혔습니다. (The culprit was caught by the police.)
- 아기 고양이가 엄마 고양이에게 안겼어요. (The kitten was held by its mother cat.)
- 갑자기 큰 소리가 들렸습니다. (A loud noise was suddenly heard.)
- 이 그림은 많은 사람들에게 보이고 싶어요. (I want this painting to be seen by many people.)
사동 표현이란? (Causative Expressions)
사동 표현은 주어가 다른 대상에게 어떤 동작이나 행위를 하도록 시키거나 만드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영어의 'make/have/let someone do something'과 유사합니다.
Causative expressions are used when the subject makes or causes another entity to perform an action or deed. It is similar to 'make/have/let someone do something' in English.
💡 사동사의 형태 (Forms of Causative Verbs)
동사 어간에 -이-, -히-, -리-, -기-, -우-, -구-, -추- 접미사를 붙이거나, '-게 하다' 형태를 사용합니다. 피동사와 형태가 겹치는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Causative verbs are formed by attaching the suffixes -이-, -히-, -리-, -기-, -우-, -구-, -추- to the verb stem, or by using the '-게 하다' form. Care must be taken as some forms overlap with passive verbs.
먹다 (to eat) → 먹이다 (to feed)
앉다 (to sit) → 앉히다 (to seat/make someone sit)
울다 (to cry) → 울리다 (to make someone cry)
웃다 (to laugh) → 웃기다 (to make someone laugh)
자다 (to sleep) → 재우다 (to put someone to sleep)
돋다 (to sprout) → 돋구다 (to sharpen/provoke)
맞다 (to fit) → 맞추다 (to fit/adjust)
'아이에게 밥을 먹이다'는 엄마가 아이에게 밥을 먹게 시키는 거니까 사동 표현이겠네요.
'아이에게 밥을 먹이다' (to feed a child) means the mother makes the child eat, so that would be a causative expression, right?
네, 맞아요! 그리고 '선생님이 학생들을 운동장에 모이게 하다'처럼 '-게 하다'를 쓰는 것도 사동 표현입니다.
Yes, that's right! And using '-게 하다' like '선생님이 학생들을 운동장에 모이게 하다' (The teacher made the students gather in the playground) is also a causative expression.
예문 (Examples)
- 저는 아이에게 우유를 먹였습니다. (I fed milk to the child.)
- 엄마는 아이를 침대에 재웠습니다. (Mom put the child to sleep in bed.)
- 그는 사람들을 웃기는 재주가 있어요. (He has a talent for making people laugh.)
- 저는 친구에게 제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I told my story to my friend.)
피동 vs. 사동: 헷갈리기 쉬운 점 (Passive vs. Causative: Points of Confusion)
피동사와 사동사 모두 '-이-, -히-, -리-, -기-' 접미사를 사용할 수 있어 종종 헷갈립니다. 문맥과 주어의 역할에 따라 구분해야 합니다.
Both passive and causative verbs can use the suffixes '-이-, -히-, -리-, -기-', which often causes confusion. You must distinguish them based on context and the role of the subject.
⚠️ 중요한 구분점 (Important Distinguishing Points)
열리다: 문이 열리다 (The door is opened/opens - Passive) vs. 엄마가 아기를 안기다 (Mom hugs the baby - Active, but '안기다' can also be passive 'to be hugged')
피동: 주어가 동작을 당함 (The subject is acted upon)
사동: 주어가 동작을 시키거나 유발함 (The subject causes or instigates the action)
💡 팁 (Tip)
주어가 움직임을 자발적으로 하는지, 당하는지, 타인에게 시키는지를 파악하면 구분이 쉽습니다.
It's easier to distinguish if you identify whether the subject performs the action voluntarily, is acted upon, or makes someone else do it.
연습 문제 (Practice Problems)
문제 1 (Problem 1)
다음 문장 중 피동 표현이 아닌 것을 고르세요.
Choose the sentence that is NOT a passive expression.
A) 바람에 창문이 닫혔다.
B) 엄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C) 강아지가 주인에게 잡혔다.
D) 거짓말이 밝게 드러났다.
정답:
정답 설명: (Answer Explanation:)
A) 닫히다 (to be closed) - 피동 (Passive)
B) 입히다 (to dress someone) - 사동 (Causative) - 엄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시키는 것.
C) 잡히다 (to be caught) - 피동 (Passive)
D) 드러나다 (to be revealed) - 피동 (Passive)
문제 2 (Problem 2)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종류의 표현을 고르세요.
Choose the expression of the same type as the underlined part in the following sentence.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책을 읽혔다.
A) 눈에 먼지가 들어갔다.
B) 물이 얼어 붙었다.
C) 동생에게 장난감을 가지게 했다.
D) 차가 고장 나서 멈췄다.
정답:
정답 설명: (Answer Explanation:)
문장의 '읽혔다'는 '읽게 했다'의 의미로 사동 표현입니다.
'읽혔다' in the sentence means 'made (someone) read,' which is a causative expression.
A) 들어가다 (to go in) - 능동 (Active)
B) 붙다 (to stick) - 능동 (Active)
C) 가지게 했다 (made to have) - 사동 (Causative) - '-게 하다'는 대표적인 사동 표현입니다.
D) 멈추다 (to stop) - 능동 (Active) (although '멈춰지다' would be passive)
피동/사동 표현은 한국어 문법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꾸준한 연습과 다양한 예문을 통해 이 표현들을 완전히 여러분의 것으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Passive/causative expressions are essential for a deeper understanding and natural command of Korean grammar. Through consistent practice and various examples, we hope you will fully master these expressions!
Clicking on ads greatly helps in content creation.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