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모의고사 1 TOPIK Mock Exam(1)_D-7 : warm up
TOPIK 모의고사
TOPIK Mock Exam
TOPIK PRACTICE LEVEL
안녕하세요 학습자 여러분! TOPIK 시험을 준비하고 계신가요? 이 모의고사는 여러분의 한국어 실력을 점검하고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실제 시험과 유사한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니, 시간을 재며 풀어보세요!
Hello, learners! Are you preparing for the TOPIK exam? This mock exam will help you check and improve your Korean skills. It consists of questions similar to the actual test, so try to solve them within a time limit!
Clicking on ads greatly helps in content creation.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a honorific expression in Korean?
정답: 4번 (가지다)
1번 (드리다): '드리다'는 '주다'의 높임말입니다. (Deurida is the honorific form of 'juda' (to give)).
2번 (잡수시다): '잡수시다'는 '먹다'의 높임말입니다. (Japsusida is the honorific form of 'meokda' (to eat)).
3번 (여쭙다): '여쭙다'는 '묻다'의 높임말입니다. (Yeojjupda is the honorific form of 'mutda' (to ask)).
4번 (가지다): '가지다'는 높임말 표현이 아니라 일반적인 동사입니다. (Gajida is a general verb, not a honorific expression).
힌트: 높임말은 주로 동사나 명사 등에 특정 접사를 붙이거나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Hint: Honorifics are typically expressed by adding specific suffixes to verbs or nouns, or by using different words).
비가 많이 와서 강물이 넘쳤다.
What is the most suitable word for the blank?
It rained a lot, so the river overflowed.
정답: 4번 (불어나)
1번 (가득): '가득'은 '꽉 차 있다'는 의미로, '넘쳤다'와는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습니다. ('Gadeuk' means 'full,' and doesn't naturally connect with 'overflowed').
2번 (거의): '거의'는 '대부분'이라는 의미로, 문맥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Geoui' means 'almost,' which is not suitable in this context).
3번 (훨씬): '훨씬'은 비교급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Hwolssin' is used to emphasize a comparative degree).
4번 (불어나): 비로 인해 강물의 양이 많아져서 넘쳤다는 의미가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Burona' meaning the river's volume increased due to rain and then overflowed is the most natural fit).
힌트: 비가 온 뒤 강물의 양적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를 생각해보세요. (Hint: Think of a verb that indicates a quantitative change in the river's volume after rain).
너무 힘들어서 오늘은 아무것도 하기 싫다.
Which of the following has the most similar meaning to the underlined part?
I'm so tired, I don't want to do anything today.
정답: 4번 (할 마음이 없다)
1번 (할 만하다): '할 만하다'는 '할 가치가 있거나 어렵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Hal manhada' means it's worth doing or not difficult to do).
2번 (할 줄 안다): '할 줄 안다'는 '능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Hal jul anda' means one has the ability to do something).
3번 (하기 나름이다): '하기 나름이다'는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Hagi nareumida' means the outcome depends on how one does it).
4번 (할 마음이 없다): '하기 싫다'는 어떤 행동을 할 의지가 없다는 의미이므로, '할 마음이 없다'와 가장 비슷합니다. ('Hagi silta' means having no will to do an action, thus it is most similar to 'hal maeumi eopda').
힌트: 밑줄 친 부분은 어떤 행동에 대한 의지나 태도를 나타냅니다. (Hint: The underlined part expresses one's will or attitude towards an action).
Which of the following sentences is grammatically correct?
정답: 2번 (친구가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1번 (나는 어제 영화를 봐서 재미있었다.): '봐서'는 동사 '보다'에 이유를 나타내는 '어서'가 붙은 형태로, 주어가 '영화'가 아니라 '나'이므로 어색합니다. 문장의 주어와 서술어의 연결이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Bwaseo' is 'boda' with 'eoseo' indicating reason, but the subject is 'I', not 'movie', making it awkwar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predicate is unnatural).
2번 (친구가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주어, 목적어, 동사가 모두 올바르게 사용된 문장입니다. (The subject, object, and verb are all used correctly in this sentence).
3번 (그는 키가 커서 농구를 잘 한다.): '커서'는 '크다'에 이유를 나타내는 '어서'가 붙은 형태로, '농구를 잘 하는 이유'가 되기에는 어색합니다. '키가 크기 때문에' 또는 '키가 커서'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Keoseo' is 'keuda' with 'eoseo' indicating reason, but it's awkward as a reason for playing basketball well. 'Because he is tall' or 'as he is tall' would be more natural).
4번 (책을 읽고 있는 학생이 웃는다.): '읽고 있는'은 현재 진행을 나타내지만, 주어인 '학생'이 웃는 이유가 불분명하며, 문장 구조가 어색합니다. '책을 읽던 학생이 웃는다' 또는 '책을 읽던 학생이 웃고 있다'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Ilgo inneun' indicates present continuous, but the reason for the subject 'student' laughing is unclear, and the sentence structure is awkward. 'The student who was reading a book laughs' or 'The student reading a book is laughing' would be more natural).
힌트: 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관계와 조사의 쓰임을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Hint: Pay clos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object, and predicate, and the usage of particles).
You look tired these days.
Yes, there's a lot of overtime, so .
정답: 3번 (힘이 드네요)
1번 (힘이 들 거예요): '힘이 들 거예요'는 미래의 추측을 나타내므로 현재 상황에 맞지 않습니다. ('Him-i deul geoyeyo' indicates a future conjecture, so it doesn't fit the current situation).
2번 (힘들게 되었어요): '힘들게 되었어요'는 그렇게 된 상황의 변화를 나타내지만, 단순한 상태를 표현하기에는 부적절합니다. ('Himdeulge doeeoseoyo' indicates a change in situation leading to difficulty, but it's inappropriate for expressing a simple current state).
3번 (힘이 드네요): '힘이 드네요'는 현재의 힘든 상태를 나타내면서 화자의 감탄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적절합니다. ('Him-i deuneyo' is appropriate for expressing the speaker's current tired state and emotions/exclamation).
4번 (힘이 들 줄 몰랐어요): '힘이 들 줄 몰랐어요'는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을 나타내므로 대화의 흐름에 맞지 않습니다. ('Him-i deul jul mollasseoyo' indicates an unexpected situation, so it doesn't fit the flow of the conversation).
힌트: 화자가 자신의 현재 상태와 감정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표현을 찾아보세요. (Hint: Find an expression that conveys the speaker's current state and feelings to the other person).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사회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는 질병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 신약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는 개인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topic for the following passage?
The recent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greatly influencing various sectors of society. Particularly in the medical field, i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accuracy of disease diagnosis and shortening drug development periods, and in the education field, it maximizes learning effectiveness by providing personalized learning.
정답: 3번 (인공지능 기술의 다양한 활용과 긍정적 영향)
1번 (인공지능 기술의 문제점): 이 글은 인공지능 기술의 긍정적인 영향과 기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This passage describes the positive impacts and contributions of AI technology).
2번 (의료 분야의 기술 혁신): 의료 분야는 인공지능이 영향을 미치는 한 예시일 뿐, 전체 글의 주제는 아닙니다. (The medical field is just one example of AI's influence, not the overall topic of the passage).
3번 (인공지능 기술의 다양한 활용과 긍정적 영향): 글은 인공지능이 의료와 교육 등 여러 분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다루고 있으므로, 이것이 가장 적절한 주제입니다. (The passage discusses the positive impacts of AI in various fields like medicine and education, making this the most appropriate topic).
4번 (교육 분야에서의 학습 효과 증대 방안): 교육 분야는 인공지능이 영향을 미치는 한 예시일 뿐, 전체 글의 주제는 아닙니다. (The education field is just one example of AI's influence, not the overall topic of the passage).
힌트: 글의 서두와 각 문장의 핵심 내용을 통해 글이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지 파악해보세요. (Hint: Identify what the passage is about through its opening and the core content of each sentence).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a standard Korean word?
정답: 4번 (솔개)
1번 (짜장면): '짜장면'은 2011년부터 표준어로 인정되었습니다. ('Jjajangmyeon' has been recognized as a standard word since 2011).
2번 (고치다): '고치다'는 올바른 표준어입니다. ('Gochida' is a correct standard word).
3번 (갯벌): '갯벌'은 올바른 표준어입니다. ('Gaetbeol' is a correct standard word).
4번 (솔개): '솔개'는 원래 표준어였으나, '수리'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말똥가리'로 변경되었고, '솔개'는 비표준어가 되었습니다. ('Solgae' was originally a standard word, but it was changed to 'malttongari' to avoid confusion with 'suri', and 'solgae' became a non-standard word).
힌트: 시간이 지나면서 표준어 규정이 변경된 단어가 있을 수 있습니다. (Hint: There might be words whose standard language rules have changed over time).
김민준 씨는 아침 일찍 출근하여 밤늦게 퇴근하는 생활을 반복하고 있다. 그는 최근 업무량이 부쩍 늘어나 주말에도 회사에 나가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처럼 바쁜 생활 속에서도 김민준 씨는 틈틈이 외국어 공부를 하며 자기 계발에 힘쓰고 있다. 그는 건강을 위해서 매일 아침 조깅을 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윗글을 통해 알 수 없는 내용은?
Read the following and answer the question.
Mr. Kim Min-jun repeats a life of going to work early in the morning and leaving late at night. His workload has increased significantly recently, and he often goes to the office even on weekends. Even in such a busy life, Mr. Kim Min-jun makes an effort for self-development by studying foreign languages whenever he has spare time. He also doesn't forget to jog every morning for his health.
What cannot be known from the passage above?
정답: 4번 (김민준 씨는 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1번 (김민준 씨는 매우 바쁜 직장인이다.): '아침 일찍 출근하여 밤늦게 퇴근하는 생활', '주말에도 회사에 나가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내용에서 알 수 있습니다. (This can be known from the content: 'life of going to work early in the morning and leaving late at night', and 'often goes to the office even on weekends').
2번 (김민준 씨는 자기 계발에 관심이 많다.): '틈틈이 외국어 공부를 하며 자기 계발에 힘쓰고 있다'는 내용에서 알 수 있습니다. (This can be known from the content: 'makes an effort for self-development by studying foreign languages whenever he has spare time').
3번 (김민준 씨는 운동을 꾸준히 한다.): '매일 아침 조깅을 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는 내용에서 알 수 있습니다. (This can be known from the content: 'also doesn't forget to jog every morning for his health').
4번 (김민준 씨는 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외국어 공부를 한다'고 되어 있지만, 유창하게 구사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없습니다. (It states he 'studies foreign languages', but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whether he speaks them fluently).
힌트: 글에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을 찾아야 합니다. (Hint: You need to find information that is not directly mentioned in the text).
Which of the following violates the foreign language transliteration rules?
정답: 3번 (후라이팬)
1번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올바른 외래어 표기입니다. ('Television' is the correct foreign language transliteration).
2번 (컴퓨터): '컴퓨터'는 올바른 외래어 표기입니다. ('Computer' is the correct foreign language transliteration).
3번 (후라이팬): '후라이팬'은 '프라이팬'이 올바른 외래어 표기입니다. ('Huraipaen' is incorrect; 'peuraipaen' (프라이팬) is the correct foreign language transliteration).
4번 (버스): '버스'는 올바른 외래어 표기입니다. ('Bus' is the correct foreign language transliteration).
힌트: 특정 외래어가 한국어로 들어오면서 어떻게 표기되는지 규칙을 떠올려보세요. 특히 'f' 발음에 유의하세요. (Hint: Recall the rules for how certain foreign words are transliterated into Korean.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f' sound).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meaning of the following proverb?
"If the words you send are beautiful, the words you receive will also be beautiful." (Literal translation: "Going words must be beautiful for coming words to be beautiful.")
정답: 2번 (상대방에게 친절하게 대하면 자신도 친절한 대우를 받는다.)
1번 (말을 많이 할수록 좋은 일이 생긴다.): 이 속담은 말의 양보다는 말의 내용과 태도를 강조합니다. (This proverb emphasizes the content and attitude of words rather than the quantity of words).
2번 (상대방에게 친절하게 대하면 자신도 친절한 대우를 받는다.): 자신이 먼저 좋은 말을 해야 상대방도 자신에게 좋게 말한다는 의미로, 상호작용에서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It means that if you speak kindly first, the other person will also speak kindly to you,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ttitude in interaction).
3번 (말은 한번 내뱉으면 주워 담을 수 없다.): 이 속담은 말의 신중성을 강조하지만, 직접적인 의미는 다릅니다. (This proverb emphasizes the cautiousness of words, but its direct meaning is different).
4번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 이 속담은 말의 영향을 강조하며, 행동의 중요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습니다. (This proverb emphasizes the impact of words and is less directly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actions).
힌트: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나의 언행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 보세요. (Hint: Consider how your words and actions affect your relationship with others).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