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60_Day33 : 비교설명 표현, ~ 에 비해, ~ 와/과 달라

TOPIK 60일 코스: 33일차 – Q53: 비교 설명 (-에 비해, -와/과 달리) (Q53: Explaining Comparison)

Day 33

Q53: 비교 설명 (-에 비해, -와/과 달리)
(Q53: Explaining Comparison

33일차 (55%)
TOPIK II (3-4급)

안녕하세요! TOPIK 60일 코스 33일차입니다. 🎉

Hello! This is Day 33 of the TOPIK 60-day course. 🎉

오늘은 TOPIK 쓰기 53번 유형 중 비교 설명에 자주 사용되는 문법인 '-에 비해''-와/과 달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 표현들을 익혀서 그래프나 통계 자료를 효과적으로 비교하고 설명하는 능력을 길러봅시다. 화이팅! 💪

Today, we'll delve into the grammar points '-에 비해' (compared to) and '-와/과 달리' (unlike/different from),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explaining comparisons in TOPIK Writing Question 53. Let's master these expressions to effectively compare and explain graphs and statistical data. Fighting! 💪

📚 오늘의 어휘 (Today's Vocabulary) (5분)

오늘 배울 단어들은 비교와 관련된 내용이 많습니다. 잘 익혀두세요!

The vocabulary we'll learn today is mostly related to comparisons. Make sure to master them!

1. 증가하다 (jeung-ga-ha-da)

의미: 늘어나다, 많아지다 / To increase

지난달에 비해 이번 달 매출이 증가했다.

Compared to last month, this month's sales increased.

2. 감소하다 (gam-so-ha-da)

의미: 줄어들다, 적어지다 / To decrease

환경 오염 때문에 해양 생물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the number of marine creatures is decreasing.

3. 유지하다 (yu-ji-ha-da)

의미: 어떤 상태나 수준을 계속 지키다 / To maintain

건강을 위해 꾸준히 운동을 유지해야 한다.

To stay healthy, you need to maintain regular exercise.

고득점을 위한 TOPIK 문법과 표현 정리

더 많은 TOPIK 필수 어휘와 문법이 궁금하다면 이 글을 참고해보세요. 📚

🗣️ 오늘의 대화 (Today's Conversation) (10분)

오늘은 Mike와 Grace가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이야기하며 비교 표현을 사용합니다.

Today, Mike and Grace are discussing the latest technology trends, using comparative expressions.

Mike

그레이스, 요즘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정말 빠르지 않아요?

Grace, isn't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really fast these days?

Grace

네, 맞아요.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Yes, that's right. Compared to the past, it's being utilized in many more diverse fields.

Mike

특히 자율주행 기술은 5년 전과 달리 눈부신 발전을 보이고 있어요.

In particular,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is showing remarkable progress unlike five years ago.

Grace

정말 그래요. 스마트폰 시장도 10년 전과 비교해 봤을 때, 이제는 성능 향상보다는 디자인이나 편의성에 중점을 두는 것 같아요.

It really is. When comparing the smartphone market to 10 years ago, it seems like the focus is now on design and convenience rather than performance improvement.

Mike

네, 과거의 혁신적인 변화와 달리 요즘은 점진적인 개선 위주죠. 그래도 기술 발전은 계속돼야겠죠?

Yes, unlike the revolutionary changes of the past, these days it's mostly about gradual improvements. Still, technological development must continue, right?

TOPIK 60일 코스: 17일차

TOPIK 쓰기 연습을 더 해보고 싶다면 이 글을 클릭해 보세요. 📝

✍️ 문법 및 핵심 표현 (Grammar & Key Expressions) (10분)

TOPIK 53번 쓰기에서 그래프나 도표의 내용을 비교할 때 유용하게 쓰이는 문법 표현들을 학습합니다.

We will learn grammar expressions useful for comparing content in graphs or charts in TOPIK Writing Question 53.

1. -에 비해 (-e bi-hae)

의미: ~보다, ~에 비교하면 (Compared to~)

작년에 비해 올해 물가가 많이 올랐다.

Compared to last year, prices have risen a lot this year.

2. -와/과 달리 (-wa/gwa dal-li)

의미: 앞에 오는 대상과 뒤에 오는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가 다름을 나타냄 (Shows that the nature or state of the preceding and succeeding subjects are different)

언니와 달리 나는 매운 음식을 잘 못 먹는다.

Unlike my older sister, I can't eat spicy food well.

3. -(으)ㄴ 반면에 (-(eu)n ban-myeon-e)

의미: 앞의 사실이나 상황과 대조되거나 상반되는 사실을 뒤에 이어 말할 때 사용 (Used to state a fact that contrasts or conflicts with the preceding fact or situation)

이 영화는 스토리는 좋은 반면에, 연출은 조금 아쉽다.

While the story of this movie is good, the direction is a bit disappointing.

TOPIK 핵심 문법 및 어휘

이전 TOPIK 코스 글에서 더 다양한 문법을 복습하고 연습해 보세요. 📝

📝 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오늘 배운 단어와 문법을 활용하여 다음 문장의 빈칸을 채워 보세요.

Us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you learned today, fill in the blanks in the following sentences.

1. 이 지역은 겨울에 눈이 많이 .
→ "감소하다"를 사용해 문장을 완성해 보세요.

2. 서울은 부산보다 인구가 많다.
→ "-(으)ㄴ 반면에"를 사용해 두 도시를 비교하는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광고

ADVERTISEMENT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mastering(4) : K DRAMA '멜로가 체질' + topik essential

당신이 곧 만나게 될 Korean movie (명작, masterpiece) "어쩔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by Park Chan-wook

Remastering K drama (7) '그 해 우리는' + Topik ess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