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hrases 30 for Topik Level 3 (11) : '~-은/는 데 그치다', '-을/를 초래하다'
Key phrases 30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Essential Korean Phrases for TOPIK Level 3 (Day 11)
Day 11: 제한적 결과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
Limited Results and Causing Negative Outcomes (Social Issues)
이 시리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여러분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이 되는 구문과 표현을 교육합니다. (This series teaches the core phrases and expressions essential for learners aiming for TOPIK Level 3.) 30일 동안 하루에 한 프로그램씩 소개하고 문제해결법을 공유합니다. (Over 30 days, we introduce one program daily and share problem-solving methods.)
핵심 어휘 및 문법 분석 Core Vocabulary and Grammar Analysis
핵심 문법 (Core Grammar)
-은/는 데 그치다 [-eun/neun de geu-chi-da] (Exp.)
의미: 어떤 수준이나 범위에 머무르거나 미치지 못하고 멈추다. (더 나아가지 못하고 **제한적인 결과**를 나타냄) (**To merely stop at/be limited to**)
활용: 노력하는 데 그치지 않고, 발표하는 데 그치다. (Not **limited to** making an effort, to **merely stop at** the announcement)
예문: 정부의 대책은 원론적인 수준의 경고에만 그치는 데 그쳤다. (The government's measure **merely stopped at** a theoretical level of warning.)
-을/를 초래하다 [-eul/reul cho-rae-ha-da] (Exp.)
의미: 어떤 결과를 가져오다. (주로 **부정적인 결과**에 사용됨) (**To cause, to bring about, to lead to**)
활용: 심각한 사회 문제를 초래하다,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초래하다. (To **cause** a serious social problem, to **lead to** irreparable damage)
예문: 무분별한 개인 정보 유출은 더 큰 금융 범죄를 초래할 수 있다. (Indiscriminat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can **lead to** greater financial crimes.)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부작용(副作用) [bu-ja-gyong] (N.)
의미: 어떤 주된 작용 외에 덧붙여 일어나는 나쁜 영향. (**Side effect, adverse effect**)
활용: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나타나다, 경제 정책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다. (Unexpected side effects appear,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of economic policy)
예문: 지나친 경쟁은 학생들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부작용을 낳았다. (Excessive competition caused serious side effects on students' mental health.)
실효성(實效性) [sil-hyo-seong] (N.)
의미: 실제로 나타나는 효과나 효험. (실제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 (**Practical effect, effectiveness**)
활용: 정책의 실효성이 없다,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다. (The policy lacks practical effect, to prepare an effective measure)
예문: 법을 강화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율 감소에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Despite strengthening the law, it has not achieved effectiveness in reducing the crime rate.)
[함께 보면 좋은 글] 사회 문제 관련 표현 확장: Killer Korean in 60 Seconds - Social Issues (Expanding Social Issues-related expressions)
실전 문제 풀이 (Practical Problem Solving)
실전 문제 풀이를 통해 핵심 구절을 익혀봅시다. (Let's master the core phrases through practical problem-solving.)
**[연관 학습]** **Key phrases 30 Day 10: 대조 및 차이 표현 (Contrast and Difference Expressions)** - *Day 10에서 배운 대조 표현을 활용하면 사회 문제의 양면성을 더 깊이 있게 논할 수 있습니다.*
세트 1. Key Phrase: -은/는 데 그치다
[문제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
단순히 제도 개선을 약속하는 (_______)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실행이다. (The problem cannot be solved **merely with** (_______) of promising institutional improvement. What is important is concrete implementation.)
- 심각한 문제 초래
- 대규모 개혁 선언
- 약속하는 데 그치는 것
- 부작용을 해소하는 방안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문장 뒤에 '구체적인 실행이 중요'하다는 내용이 이어지므로, 앞에는 약속만 하고 실행은 부족하다는 '제한적 결과'의 의미가 필요합니다. '약속하는 (것)에 그치는 데 그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듭니다. (The meaning of 'limited results' is required here.)
Analysis: Since the sentence is followed by 'concrete implementation is important', the preceding phrase must convey the meaning of 'limited results'—that is, merely making a promise without action. '약속하는 데 그치는 것 (merely being limited to a promise)' creates the most natural flow.
세트 2. Key Phrase: -을/를 초래하다
[문제 2]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Read the following text and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s.)
새로운 정책이 급하게 시행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예상치 못한 (_______)을/를 (_______)했고, 이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As the new policy was implemented hastily, some regions (_______) unexpected (_______), leading to growing criticism.)
- 실효성 / 확보
- 발전 / 거부
- 부작용 / 초래
- 성공 / 방지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급하게 시행', '예상치 못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는 문맥은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부정적인 영향인 '부작용'을 '초래하다'(가져오다/일으키다)는 표현이 가장 적절합니다. (The context indicates a negative result.)
Analysis: The context of 'implemented hastily,' 'unexpected,' and 'growing criticism' indicates a negative result. Therefore, the expression '부작용을 초래하다 (to cause side effects)' is the most appropriate, as '초래하다' is typically used for negative outcomes.
세트 3. 실전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문제 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사용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을 고르시오. (Choose the sentence in which the use of the underlined part is the most natural.)
- 새로운 기술은 경제 발전을 초래하는 데 그쳤다.
- 단순히 보고서를 제출하는 데 그쳐서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할 수 없다.
- 정부의 미흡한 조치는 시민들의 불편 해소에 초래할 수 있다.
- 이 법안은 당장 눈앞의 문제 해결 에만 초래하는 한계가 있다.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b
해설: a) '초래하다'는 부정적 결과에 사용되므로 긍정적인 '경제 발전'과 함께 쓰는 것은 어색합니다. (Unnatural with positive result) b) '단순히 보고서를 제출하는 데 그치다'는 제한적 결과를 나타내며, 이어지는 문맥과 논리적으로 연결됩니다. (Correct) c) '초래하다'는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할 때 사용합니다. '불편 해소'는 긍정적이므로 '해소에 도움이 되다' 등이 적절합니다. (Unnatural with positive/neutral result) d) '-에만 초래하다'는 문법적으로 어색하며, '-을/를 초래하다' 또는 '문제 해결에만 그치는'이 자연스럽습니다. (Grammatically awkward)
Analysis: a) '초래하다 (to cause)' is usually used for negative results, so using it with positive '경제 발전 (economic development)' is unnatural. '가져왔다 (brought about)' is better. b) '단순히 보고서를 제출하는 데 그치다 (merely being limited to submitting a report)' indicates a limited result (no further action) and logically connects with the following 'cannot prepare effective measures.' (Correct) c) '초래하다' is used to cause negative outcomes. '불편 해소 (resolving inconvenience)' is a positive/neutral outcome, so '도움이 되다 (to be helpful)' is more appropriate. d) '-에만 초래하는' is grammatically awkward. '초래하다' is a transitive verb that requires the object marker '-을/를'. '문제 해결에만 그치는' is natural.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나 표현을 넣어보세요. (Fill in the blanks with the appropriate words or expressions.)
1. 이 법안은 논의 단계에서만 (___________)고, 실제 실행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2. 너무 늦은 대처는 더 큰 사회적 혼란을 (___________)할 수 있다.
3. 우리는 정책의 (___________)을/를 확보하고, 단기적인 성과에 (___________)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정답 예시: 1. 그치 / 2. 초래 / 3. 실효성, 그치)
(Answer Examples: 1. be limited to / 2. cause / 3. effectiveness, be limited to)
**[다음 학습 예고]** **Key phrases 30 Day 12: 우려와 염려 표현 (Expressions of Concern and Worry)** - *제한적 결과와 부정적 결과는 '우려(concern)'를 낳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와 관련된 표현을 학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