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7) : 시점의 함정' _Conquering the 'Tense Error' Trap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 TRAP30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RAP30: 30-Day Project to Conquer TOPIK Traps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7일차: 시점 오류 함정 극복 이미지

7일차: '시점 오류' 함정 극복

Day 7: Conquering the 'Tense Error' Trap

오늘은 과거의 사실을 현재의 관점으로 묻거나, 미래의 예측을 현재 사실로 오인하게 만드는 '시점 오류' 함정에 대해 깊이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TOPIK 시험에서는 지문에 나타난 시간 정보와 선택지의 시간 정보가 미묘하게 달라 오답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맥 속에서 정확한 시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oday, we will dive deep into the 'Tense Error' trap, which asks about past facts from a present perspective or leads you to mistake a future prediction for a current fact. In the TOPIK exam,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temporal information in the passage and the choices are subtly different to mislead you into selecting the wrong answer. It is crucial to accurately grasp the tense within the context.


실전 문제 풀이 (Practice Problems)

세트 1

다음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몇 년 전, 이 도시는 환경 보호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대폭 줄이기로 결정했다. 당시 시민들은 불편함을 호소했지만, 시의 적극적인 홍보와 캠페인으로 점차 인식이 바뀌었다. 그 결과, 현재는 많은 시민들이 텀블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회용 컵을 사용하는 사람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① 시민들은 처음부터 일회용품 줄이기에 적극적이었다.

② 과거에는 텀블러를 사용하는 시민이 많지 않았다.

③ 앞으로도 일회용품 사용은 계속해서 줄어들 것이다.

④ 현재는 일회용 컵을 쓰는 사람이 전혀 없다.

정답: ②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선택지 ①은 ‘처음부터’라는 표현으로 지문의 ‘불편함을 호소했지만’과 상반되는 내용을 제시합니다. 선택지 ③은 ‘앞으로도 계속’이라는 미래의 예측을 담고 있지만, 지문은 현재의 상황까지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선택지 ④는 ‘전혀’라는 극단적인 표현을 사용해, 지문의 ‘거의’라는 표현과 다릅니다. 이 문제의 핵심은 과거의 상황과 현재의 상황을 정확히 구분하는 것입니다.

Choice ① uses the expression 'from the beginning', which contradicts the phrase 'complained about the inconvenience' in the text. Choice ③ contains a future prediction, 'will continue to decrease', but the passage only describes the current situation. Choice ④ uses the extreme expression 'not at all',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lmost' in the passage. The key to this problem is to accurately distinguish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situations.


세트 2

다음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수록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앞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계획이다. 이러한 노력은 수면 부족 문제를 겪는 현대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①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은 관계가 없다.

② 연구진은 이미 수면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

③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현재 개발하고 있다.

④ 연구진은 앞으로 개발할 방법에 대한 기대를 하고 있다.

정답: ④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선택지 ②는 ‘이미 해결했다’는 완료된 과거 시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지문에서는 ‘개발할 계획이다’‘기대된다’와 같은 미래의 계획이나 예측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선택지 ③은 ‘현재 개발하고 있다’는 진행형 시제를 사용하고 있어, ‘앞으로... 개발할 계획이다’라는 미래 시점의 계획과 다릅니다. 지문의 ‘기대된다’는 표현이 핵심입니다.

Choice ② uses a completed past tense, 'already solved,' but the passage presents a future plan or prediction with phrases like 'plans to develop' and 'is expected.' Choice ③ uses a present progressive tense, 'is currently develop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uture plan of 'plans to... develop.' The key is the expression 'is expected' in the passage.


세트 3

다음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회사 설립 초기에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직원들의 열정이 대단했다. 덕분에 1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국내 최고의 기업 중 하나로 성장했다. 하지만 최근 신입사원들은 이전 세대와 달리 개인의 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회사에 대한 충성심은 낮아진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앞으로 회사가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① 직원들의 회사에 대한 충성심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한결같다.

② 회사는 이미 신입사원들의 충성심 문제를 해결했다.

③ 신입사원들은 개인의 성장보다 회사의 성장을 더 중시한다.

④ 회사가 극복해야 할 과제는 신입사원들의 낮은 충성심이다.

정답: ④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선택지 ①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한결같다’고 주장하지만, 지문은 ‘이전 세대와 달리’라는 표현으로 과거와 현재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선택지 ②는 ‘이미 해결했다’는 완료된 시제를 사용해, 지문의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라는 미래 지향적 표현과 상반됩니다. 선택지 ③은 ‘개인의 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지문의 내용과 정반대입니다. 이 문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황 변화를 정확히 파악해야 풀 수 있습니다.

Choice ① claims that loyalty 'has been consistent from the past until now,' but the passage clearly points out a difference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with the phrase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 Choice ② uses a completed tense, 'already solved,' which contradicts the future-oriented expression 'is a challenge to overcome' in the passage. Choice ③ is the opposite of the passage's content that new employees 'consider personal growth important.' This problem can only be solved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change in the situation over time.


세트 4

다음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2000년대 초반, 인터넷은 개인 간의 소통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다. 사람들은 이제 이메일이나 메신저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락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개인의 삶에 더 깊숙이 파고들 것으로 예측한다.

① 2000년대 초반에는 사람들이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이용했다.

②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이미 개인의 삶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③ 인터넷은 과거에 개인 간 소통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다.

④ 전문가들은 과거에 인공지능의 발전을 예측하지 못했다.

정답: ③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선택지 ①은 ‘2000년대 초반’이라는 과거 시점에 ‘스마트폰’이 보급되었다는 잘못된 시간 정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문에서는 스마트폰이 보급된 것은 ‘이후’의 일이라고 명시했습니다. 선택지 ②는 ‘현재’ 인공지능이 깊숙이 들어왔다고 말하지만, 지문은 ‘앞으로... 예측한다’고 미래 시점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선택지 ④는 지문에 언급되지 않은 내용입니다. 시제와 시간 부사를 정확히 연결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Choice ① presents incorrect temporal information, stating that smartphones were used for the internet in the 'early 2000s.' The passage specifies that the spread of smartphones happened 'subsequently.' Choice ② says that AI is 'currently' deeply integrated, but the passage mentions a future prediction, 'predicts that... in the future.' Choice ④ is not mentioned in the passage. It is essential to practice connecting tenses with temporal adverbs accurately.


세트 5

다음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우리 회사는 10년 전만 해도 지역 사회의 작은 기업에 불과했다. 하지만 끊임없는 기술 개발과 혁신적인 마케팅 전략 덕분에 이제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향후 5년 내에 우리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더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갈 것이다.

① 우리 회사는 처음부터 글로벌 기업이었다.

② 과거에는 사업 분야가 지금보다 훨씬 넓었다.

③ 앞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을 이미 실행하고 있다.

④ 현재는 10년 전보다 성장한 상태이다.

정답: ④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선택지 ①은 ‘처음부터’ 글로벌 기업이었다고 말하지만, 지문은 ‘10년 전만 해도 작은 기업에 불과했다’고 명확히 과거의 상황을 제시합니다. 선택지 ②는 과거의 사업 분야가 넓었다고 주장하지만, 지문은 현재 ‘더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미래 계획을 언급하고 있어 상반됩니다. 선택지 ③은 ‘이미 실행하고 있다’는 현재 진행형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문은 ‘확장해 나갈 것이다’라는 미래 시제를 쓰고 있습니다. 지문의 시제와 선택지의 시제를 정확히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hoice ① claims it was a global company 'from the beginning,' but the passage explicitly states that it 'was only a small local company 10 years ago.' Choice ② argues that the past business scope was wider, which contradicts the passage's future plan to 'expand into more diverse fields.' Choice ③ uses the present progressive tense, 'is already executing,' whereas the passage uses the future tense, 'will expand.' It is crucial to accurately compare the tenses in the passage with those in the choices.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오인하다 (誤認하다) (동사) | to mistake, to misunderstand
어떤 사실이나 대상을 잘못 알다. To incorrectly know or perceive a fact or object.
예문: 과거의 상황을 현재의 관점으로 오인해서는 안 됩니다. Example: You must not mistake a past situation for a present one.

호소하다 (呼訴하다) (동사) | to appeal, to complain
어려움이나 억울한 사정을 남에게 하소연하다. To complain to others about difficulties or unfair circumstances.
예문: 시민들은 일회용품 사용 제한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했습니다. Example: Citizens complained about the inconvenience of restricting disposable items.

경향 (傾向) (명사) | tendency, trend
어떤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나 성향. A phenomenon or inclination that leans in a certain direction.
예문: 최근 신입사원들은 회사에 대한 충성심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Example: Recently, new employees are showing a tendency to have lower loyalty to the company.

핵심 문법 (Core Grammar)

-는 경향을 보이다 | to show a tendency to...
어떤 현상이나 행동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는 추세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Used to indicate a trend or a tendency of a phenomenon or action to move in a certain direction.
예문: 이 지역의 집값은 매년 조금씩 오르는 경향을 보입니다. Example: The housing prices in this area show a tendency to rise slightly every year.

-에 불과하다 | to be nothing more than..., to be just...
어떤 대상이 예상이나 기대보다 하찮거나 중요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Used to indicate that something is insignificant or not as important as expected or anticipated.
예문: 그들의 주장은 단순한 추측에 불과했습니다. Example: Their claim was nothing more than a simple guess.


#TOPIK #한국어능력시험 #시점오류 #토픽함정 #한국어공부 #KoreanExam #TOPIKTrap #TenseError #KoreanStudy #LearnKorean #कोरियाई #टीओपीआईके #कोरियाईभाषा #시제 #한국어문법 #ReadingComprehension #TOPIK준비 #KoreanGrammar #Vocabulary #토픽읽기

© superrealkore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