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17일차)
Breaking Through TOPIK Traps: A 30-Day Strategy
쓰기: '개요의 탈을 쓴' 함정 파악
Writing: Identifying 'Essay Outline' Traps
TOPIK 쓰기 영역의 마지막 문제인 54번은 긴 글쓰기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주어진 주제에 대한 개요를 먼저 작성하고 그에 맞춰 글을 완성해야 하는데, 많은 학습자가 개요 작성 단계에서부터 함정에 빠지곤 합니다. 바로 제시된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요구사항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함정입니다. 이 시간에는 주어진 개요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글을 전개하는 방법을 익혀봅시다.
The last question in the TOPIK Writing section, question 54, is a long-form essay question. You must first write an outline for a given topic and then complete the essay accordingly. Many learners fall into a trap right from the outline stage: straying from the given topic or failing to properly incorporate the required elements. In this session, we will practice logically analyzing a given outline and developing an essay in the correct direction.
핵심 어휘
글을 쓰기 전에 전체적인 뼈대와 순서를 미리 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론, 본론, 결론에 각각 어떤 내용을 담을지 정리하는 과정입니다.
This refers to setting the overall structure and order of an essay before writing it. It is the process of organizing what content will be included in the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respectively.
예시: 쓰기 문제를 풀기 전에 개요부터 짜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You should get into the habit of creating an outline before solving a writing problem.)
이야기나 논리를 체계적으로 펼쳐 나가다는 의미입니다. 개요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This means to systematically expand a story or a logical argument. It is often used to describe the process of fleshing out the content of an essay based on an outline.
예시: 제시된 개요에 따라 논리적으로 글을 전개했습니다. (I developed the essay logically according to the given outline.)
어떤 일이나 과제를 수행할 때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조건을 말합니다. TOPIK 쓰기에서는 개요에 제시된 세부 항목들을 의미합니다.
This refers to the conditions that must be met when performing a task or assignment. In TOPIK writing, it means the specific details presented in the outline.
예시: 이번 프로젝트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모두 반영해야 합니다. (This project must reflect all the client's requirements.)
핵심 문법
어떤 자료나 정보의 출처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TOPIK 쓰기 54번에서는 제시된 자료를 인용하거나 통계 결과를 설명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This is used to indicate the source of a certain material or information. In TOPIK Writing Question 54, it can be useful when citing provided data or explaining statistical results.
예시: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 실업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According to the government report,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s gradually decreasing.)
어떤 목적이나 해결책의 핵심이 무엇인지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특히 결론 부분에서 글의 핵심적인 주장을 정리할 때 효과적입니다.
This is used to explain what the core of a purpose or solution is. It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summarizing the main argument of an essay in the conclusion.
예시: 이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소통을 강화하는 데 있습니다.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problem lies in strengthening communication.)
앞 절의 내용이 뒤 절의 원인이나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주로 공식적인 글쓰기에서 사용되며, 논리적인 인과관계를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This grammar pattern indicates that the content of the preceding clause is the cause or reason for the following clause. It is mainly used in formal writing and is useful for explaining a logical cause-and-effect relationship.
예시: 환경 오염이 심각해졌으므로, 우리는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합니다. (Be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come serious, we must find things we can practice in our daily lives.)
마이크, 그레이스 씨. 지난번에 TOPIK 54번 문제 개요 작성 연습한 거 봤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이 실수하는 부분이 있어요. 주어진 주제를 보고 머릿속에서 떠오르는 내용을 무작정 쓰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Mike and Grace. I've been looking at the TOPIK 54 essay outlines you practiced last time, and I noticed a common mistake among many. A lot of people tend to write down whatever comes to mind without a clear plan based on the given topic.
맞아요. 주제가 '인터넷의 순기능과 역기능'이라면, 바로 '장점은 편리함이고, 단점은 중독입니다'라고 생각했어요. 제시된 세부 요구사항은 크게 신경 쓰지 않았습니다.
That's right. If the topic was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the internet,' I immediately thought, 'The advantage is convenience, and the disadvantage is addiction.' I didn't pay much attention to the specific requirements given.
저는 '스트레스 해소법'이라는 주제를 보고, 제가 좋아하는 '여행'에 대해 길게 썼어요. 주제 자체에는 맞지만, 제시된 개요 항목과 맞지 않아서 점수가 낮게 나왔어요.
For the topic 'Methods for relieving stress,' I wrote extensively about 'travel,' which I love. Although it was related to the topic, it didn't match the outline points provided, so I got a low score.
실전 문제 풀이
Practice세트 1. 다음 주제와 개요를 보고, 가장 적절하지 않은 개요의 내용을 고르십시오.
주제: 인공지능(AI) 시대, 인간의 역할과 미래
개요:
1. 인공지능이 가져온 사회 변화 (도입)
2. 인공지능이 인간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본론 1)
3.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 방안 (본론 2)
4.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이 갖춰야 할 능력 (결론)
아래 학생이 작성한 개요 중, 위 개요에 맞춰 작성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1) 마이크: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삶이 편리해졌다는 내용을 도입에 썼습니다.
(2) 그레이스: AI로 인해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부정적 영향을 본론 1에 포함했습니다.
(3) 박민수: AI 기술이 국가 경제에 얼마나 큰 이익을 가져다주는지 본론 2에서 강조했습니다.
(4) 지은: AI 시대에는 창의력, 협업 능력 등 인간 고유의 능력이 중요함을 결론에 썼습니다.
정답 및 해설
정답: (3) 박민수
Solution: (3) Park Min-su
해설:
주어진 개요는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 방안'을 본론 2의 주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박민수 씨의 개요는 국가 경제 이익이라는 주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긍정적 영향'에는 속할 수 있지만, '윤리적 문제'와는 다른 맥락이므로 개요의 요구사항을 벗어난 것입니다.
Explanation:
The given outline for Body Paragraph 2 specifies the topic as 'Ethical issues of AI and their solutions.' However, Park Min-su's outline discusses the economic benefits to the country, which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ethical issues. While economic benefits could be considered a 'positive impact,' they fall under a different context than 'ethical problems,' so this outline point deviates from the required content.
AI 기술의 장점이라는 점에서 전체 주제와 완전히 동떨어진 내용은 아니지만, 세부 개요 항목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함정입니다. 정확한 논리적 흐름과 세부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Trap Point: The 'Plausible Distractor' Trap
This is a trap where the content is not completely irrelevant to the overall topic (AI benefits), but it fails to satisf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sub-outline point. It's crucial to understand the precise logical flow and detailed requirements of the outline.
세트 2. 다음은 '환경 보호'에 대한 글을 쓰기 위해 그레이스가 작성한 개요입니다. 올바르지 않은 부분을 찾아 고치십시오.
주제: 도시화와 환경 오염 문제
개요:
1. 도시화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 문제의 심각성 (도입)
2. 환경 보호를 위한 개인의 노력 (본론 1)
3. 쓰레기를 줄이는 구체적인 방법 (본론 2)
4. 기업과 정부의 역할 (결론)
정답 및 해설
정답: '3. 쓰레기를 줄이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론 1의 '개인의 노력'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개요의 논리적 순서가 맞지 않습니다.
Solution: '3. Specific ways to reduce trash' should be included in '2. Individual effort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Therefore, the logical order of the outline is incorrect.
해설:
개요는 글의 뼈대 역할을 합니다. 본론 1의 '개인의 노력'이라는 큰 주제 안에 '쓰레기 줄이기'라는 구체적인 방법이 포함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자연스럽습니다. 본론 2는 기업이나 정부의 역할처럼 '개인의 노력'과는 다른 차원의 주제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개요가 중복되거나 논리적 순서가 어색하면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렵습니다.
Explanation:
The outline serves as the skeleton of the essay. It is logically more natural for the specific method of 'reducing trash' to be a sub-point under the broader topic of 'individual efforts.' Body Paragraph 2 should address a different level of topic, such as the roles of corporations or the government. If the outline is redundant or its logical flow is awkward, it is difficult to get a good score.
개요 항목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내용이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세부 내용을 별도의 항목으로 빼는 함정입니다. 큰 개념과 작은 개념을 구분하여 논리적으로 배치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 Trap Point: The 'Logical Flow' Trap
This trap occurs when a student assumes that each outline point must be a standalone topic and separates a sub-point into its own main heading. You need to practice distinguishing between major and minor concepts and arranging them logically.
세트 3. 다음은 '미래 교육의 방향'에 대한 글을 쓰기 위한 개요입니다. 이 개요에 따라 글을 쓸 때, 가장 먼저 다루어야 할 내용은 무엇입니까?
주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변화
개요: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 (도입)
2. 주입식 교육의 한계와 문제점 (본론 1)
3.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방식의 변화 (본론 2)
4. 미래 교육이 지향해야 할 가치 (결론)
가장 먼저 다루어야 할 내용은?
(1) 창의적 교육의 필요성
(2) 현재 교육의 문제점
(3) 미래 시대의 특징
(4) 미래 교육의 궁극적 목표
정답 및 해설
정답: (3) 미래 시대의 특징
Solution: (3)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era
해설:
주어진 개요의 첫 번째 항목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 (도입)'입니다. 이는 글의 배경이나 현상을 먼저 제시하는 '도입' 부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글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다루어야 할 내용은 미래 시대, 즉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나머지 항목들은 그 이후에 순서대로 다루게 됩니다.
Explanation:
The first point of the given outline is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roduction).' This corresponds to the 'introduction' section, which first presents the background or phenomenon. Therefore, the first thing to discuss in the essay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era, 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other points will be addressed sequentially after that.
문제는 개요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순서에 따라 글을 전개해야 한다는 것을 묻고 있습니다. 주제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정답 후보로 생각하는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Trap Point: The 'Logical Order' Trap
The question is testing your ability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outline and develop the essay in that specific order. You must be careful not to fall into the trap of considering all content related to the topic as a potential answer.
세트 4. 다음 중 '환경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글을 쓸 때, 논리적으로 가장 올바른 개요 순서는?
(가) 환경 오염의 심각성 (도입)
(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 (결론)
(다)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 (본론 2)
(라) 환경 파괴의 원인과 문제점 (본론 1)
올바른 순서를 배열하시오.
정답 및 해설
정답: (가) → (라) → (다) → (나)
Solution: (a) → (d) → (c) → (b)
해설:
글의 일반적인 논리적 흐름은 '현상 제시 → 원인/문제점 분석 → 해결책 제시 → 결론'의 순서입니다.
1. (가) '환경 오염의 심각성'은 문제 제기를 하는 도입에 적절합니다.
2. (라) '환경 파괴의 원인과 문제점'은 도입에서 제시한 문제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3. (다)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은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므로 '본론 2'에 배치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4. (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은 글 전체를 요약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결론에 해당합니다.
Explanation:
The general logical flow of an essay is 'Presenting the phenomenon → Analyzing the causes/problems → Proposing solutions → Conclusion.'
1. (a)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appropriate for the introduction, as it presents the problem.
2. (d) 'Causes and problems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deals with the specific details of the problem raised in the introduction.
3. (c) 'The roles of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the government' are specific solutions, so it's natural to place them in 'Body 2.'
4. (b) 'Efforts for a sustainable future' summarizes the entire essay and suggests a future direction, making it suitable for the conclusion.
개요의 세부 내용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지 못하면 순서를 헷갈릴 수 있습니다. 도입, 본론, 결론의 역할과 그에 따른 논리적 연결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 Trap Point: The 'Fixed Logical Structure' Trap
If you fail to understand the role of each detailed point in the outline, you can easily get confused about the order. You need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and their logical connections.
세트 5. 다음 중 '기술 발전과 삶의 질'에 대한 글을 쓸 때, 개요에 포함되기 어려운 내용은?
(1)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한 사회적 소통 방식의 변화
(2) 기술 발전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3) 기술이 인간의 정서를 파괴하는 원인
(4) IT 기업의 경쟁 구도와 시장 동향
정답 및 해설
정답: (4) IT 기업의 경쟁 구도와 시장 동향
Solution: (4) Competitive landscape and market trends of IT companies
해설:
주제는 '기술 발전과 삶의 질'입니다. 1, 2, 3번 항목은 모두 기술 발전이 개인의 삶이나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이므로 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4번 항목은 'IT 기업의 경쟁'에 관한 내용으로, 기술 발전의 원인이나 경제적 측면에 속할 수는 있지만, 주어진 주제인 '삶의 질'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습니다. 개요는 반드시 주어진 주제의 핵심을 담아야 합니다.
Explanation:
The topic i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quality of life.' Items 1, 2, and 3 are all directly related to the topic as they discuss the impa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n individual lives or society. However, item 4 is about the 'competition among IT companies.' While this might be related to the cause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r economic aspects, it has little direct relevance to the given topic of 'quality of life.' An outline must always contain the core of the given topic.
주제와 관련된 용어가 들어가 있으면 무조건 맞다고 생각하는 함정입니다. 주제 자체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은, 지엽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구분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Trap Point: The 'Peripheral Information' Trap
This is a trap where you assume an option is correct just because it contains terms related to the topic.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minor, peripheral details and core concepts directly relevant to the topic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