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54 를 위한 고득점 Skill : 사자성어 / 전화위복,새옹지마,일석이조,설상가상

TOPIK 2 쓰기 고득점, 필수 사자성어 5가지!
TOPIK 2 쓰기 마스터

TOPIK 2 쓰기 고득점
필수 사자성어 5가지!

기출 빈도 높은 핵심 사자성어 완벽 가이드

TOPIK 2 쓰기 고득점 사자성어

서론: 사자성어, 왜 중요할까요? Introduction: Why are four-character idioms important?

TOPIK 2 쓰기 영역에서 고득점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문법과 풍부한 어휘는 물론, 글의 깊이를 더해주는 표현력 (expressiveness that adds depth to writing)이 중요합니다. 그중에서도 사자성어는 한국어의 문화적 배경과 함축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 적절하게 사용하면 글의 수준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강력한 도구 (four-character idioms contain Korean cultural background and implicit meanings, making them powerful tools to elevate the level of writing when used appropriately)가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TOPIK 2 쓰기 시험에 자주 출제되거나 활용도가 높은 사자성어 5가지를 선정하여, 각 사자성어의 기원 및 유래, 정확한 의미, 그리고 실생활 및 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문 (origin and derivation, precise meaning, and example sentences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and writing)을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실전 문제 (practical problems)를 통해 배운 내용을 직접 적용해 보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니, 집중해서 따라와 주세요!

1. 전화위복 (轉禍爲福) Jeonhwawibok (Turning misfortune into fortune)

전화위복

기원 및 유래 Origin and Derivation:

‘전화위복’은 중국 『회남자(淮南子)』에 나오는 ‘인간만사 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 (all human affairs are like the old man's horse at the frontier)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변방에 사는 늙은이(새옹)의 말이 도망쳤지만, 오히려 좋은 말과 함께 돌아오고, 그의 아들이 그 말에서 떨어져 다리를 다쳤지만, 덕분에 전쟁에 나가지 않게 되었다는 이야기에서, 나쁜 일이 오히려 좋은 계기가 된다 (a bad situation surprisingly turns into a good opportunity)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어휘와 문법 Key Vocabulary & Grammar:

轉禍爲福 (jeon-hwa-wi-bok)

재앙(禍)을 바꾸어(轉) 복(福)으로 만든다(爲)는 뜻으로, 어떤 불행한 일이나 좋지 않은 일이 오히려 좋은 결과나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때 사용 (It means to turn disaster into fortune; used when an unfortunate or bad event surprisingly leads to a good outcome or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turning misfortune into fortune.)합니다.

1. 취업에 실패한 것이 그에게는 전화위복 (blessing in disguise)이 되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2. 예상치 못한 사고로 여행이 취소되었지만, 덕분에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전화위복 (blessing in disguise)이 되었다.

2. 새옹지마 (塞翁之馬) Sae-ong-ji-ma (The old man's horse at the frontier)

새옹지마,사자성어

기원 및 유래 Origin and Derivation:

앞서 ‘전화위복’의 유래에서도 설명했듯이, 중국 『회남자(淮南子)』에 나오는 변방 늙은이의 말 이야기 (the story of the frontier old man's horse from 'Huainanzi' in China)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어렵고, 한 사건의 결과가 단정적으로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주요 어휘와 문법 Key Vocabulary & Grammar:

塞翁之馬 (sae-ong-ji-ma)

변방 늙은이의 말이라는 뜻으로, 세상일은 변화가 많아 복이 화가 되기도 하고 화가 복이 되기도 하여 예측하기 어렵다 (It means "the frontier old man's horse"; refers to the unpredictability of worldly affairs where fortune can turn into misfortune and vice versa.)는 의미입니다. 주로 인생의 무상함이나 예기치 않은 변화 (the transience of life or unexpected changes)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1. 합격했던 회사를 포기하고 다른 길을 선택한 것이 지금 와서는 새옹지마 (unpredictable fortune)와 같았다.

2. 어제 비가 와서 등산을 못 갔지만, 덕분에 집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었으니 새옹지마 (unpredictable fortune) 아닌가.

3. 일석이조 (一石二鳥) Il-seok-i-jo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

기원 및 유래 Origin and Derivation:

‘일석이조’는 서양 속담인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나의 돌로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는 직접적인 이미지를 통해 하나의 행동으로 두 가지 이득을 얻는 상황 (a situation where two benefits are gained from one action)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주요 어휘와 문법 Key Vocabulary & Grammar:

一石二鳥 (il-seok-i-jo)

하나의 돌(石)로 두 마리(二)의 새(鳥)를 잡는다(一)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상의 이득이나 효과를 얻는 것 (It means "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referring to gaining two or more benefits or effects from a single action.)을 의미합니다.

1. 자전거로 출퇴근하면 건강도 챙기고 교통비도 아낄 수 있으니 일석이조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이다.

2. 드라마를 보면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것은 재미와 학습,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석이조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의 방법이다.

이 어휘와 문법을 활용한 문제:

1. 다음 문장을 완성하세요: "이 앱은 단어 학습과 발음 교정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정말 _____."

2. "한 가지 행동으로 여러 가지 좋은 결과를 얻는다"는 의미로 쓸 수 있는 사자성어는?

4. 설상가상 (雪上加霜) Seol-sang-ga-sang (Adding insult to injury)

설상가상 한국어

기원 및 유래 Origin and Derivation:

이 성어는 중국 송나라의 유명한 시인 소식(蘇軾, 소동파)의 시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눈 위에 서리가 더해진다는 비유를 통해 안 좋은 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모습 (the worsening of an already bad situation)을 절묘하게 표현했습니다.

주요 어휘와 문법 Key Vocabulary & Grammar:

雪上加霜 (seol-sang-ga-sang)

눈(雪) 위에 서리(霜)가 더해진다(加)는 뜻으로, 나쁜 일이 연이어 일어나 어려움이 겹치는 상황 (It means "adding frost to snow"; refers to a situation where one misfortune follows another, compounding difficulties.)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흔히 불행이 겹치는 상황 (a situation where misfortunes accumulate)을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1. 지갑을 잃어버린 것도 화가 나는데, 비까지 내리니 설상가상 (adding insult to injury)이었다.

2. 회사가 재정난을 겪고 있는데, 주요 거래처와의 계약까지 파기되어 설상가상 (adding insult to injury)의 상황에 놓였다.

5. 결자해지 (結者解之) / 중요! Gyeol-ja-hae-ji (He who ties the knot must untie it)

결자해지

기원 및 유래 Origin and Derivation:

‘결자해지’는 고려시대 스님인 보조국사 지눌(普照國師 知訥) (the Goryeo-era monk Bojo Guksa Jinul)의 어록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가 당시의 불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한 사상에서, 매듭을 묶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 (the person who tied the knot must untie it)는 의미가 확장되어 사용되었습니다.

주요 어휘와 문법 Key Vocabulary & Grammar:

結者解之 (gyeol-ja-hae-ji)

맺은(結) 사람이(者) 풀어야(解) 한다(之)는 뜻으로,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을 해결해야 한다 (It means "he who ties the knot must untie it," referring to the idea that the person who caused a problem should be the one to solve it.)는 의미입니다. 주로 문제의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 책임을 지고 해결해야 할 때 (used when the person who caused the problem should take responsibility and solve it) 사용됩니다.

1. 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 바로 당신이니, 결자해지 (he who ties the knot must untie it)의 자세로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2. 국가적인 위기 상황에 결자해지 (he who ties the knot must untie it)의 마음으로 국민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

이 어휘와 문법을 활용한 문제:

1. 다음 문장을 완성하세요: "정부 관계자는 이번 환경 오염 사태에 대해 _____의 자세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2. 다음 중 '책임지고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와 가장 가까운 사자성어는?

(a) 일거양득 (b) 전화위복 (c) 결자해지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