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동료인 게시물 표시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챙기는 외국인 인권 정책! Foreign Worker Human Rights Policy by President Lee

이미지
외국인 노동자 인권 정책 | Foreign Worker Human Rights Policy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챙기는 외국인 인권 정책! President Lee Jae-myung's Direct Oversight of Foreigner Human Rights Policies! 구독 (Subscribe) 외국인노동자 인권침해 신고하세요. 11~29일 신고기간 운영. 노동장관과 국회 환노위원장, 지자체장이 직접 외국인 근로 농촌현장 방문 했습니다. 또한, 외국인노동자 ' 이름 부르기 캠페인 '도 시작되었습니다. Report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foreign workers. A reporting period is in effect from the 11th to the 29th. The Minister of Labor, the head of the National Assembly's Environment and Labor Committee, and local government leaders directly visited rural workplaces with foreign workers. A ' Name-Calling Campaign ' for foreign workers has also started. 노동부는 이달 11~29일 ' 외국인 노동자 노동인권 침해 집중 신고 기간 '을 운영하고, 열악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과거 신고 사건 이력 등을 분석해 외국인 다수 고용사업장을 대상으로 근로감독을 한다고 8일 밝혔습니다. The Mi...

☕한국회사의 첫날! the first day in Korean workplace : 첫 출근, 대표이사, OJT, 인사팀

이미지
한국 회사의 첫 출근 가이드: 외국인 직원을 위한 팁 | Super Real Korean Your First Day at a Korean Workplace 한국회사의 첫 날! 초급 (Beginner) | Intermediate (중급) 대부분 인사팀 담당자가 여러분을 맞이한다. Generally, HR representative will welcome you. 외국인 직원이 특별하기 때문에 높은 확률로 대표이사를 만나 티타임을 가질 것이다. Since foreign employees are considered special, there's a high chance you'll have tea time with the CEO. CEO 미팅 준비 🧑‍💼 | Preparing for the CEO Meeting 이 때 대표이사가 입사 소감을 물어볼 수 있습니다. 다음의 답변을 활용하면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인사팀에서는 대표이사님과의 짧은 면담 시간 동안 지원자의 첫인상과 소통 능력을 살필 수 있으니, 미리 몇 가지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마이크 🧑‍💼: “동료들과 빨리 친해져서, 구성원으로서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try to get along with my colleagues quickly and contribute as a valuable member.” 그레이스 👩‍🏭: “제 친...

💻한국 사무실 단어! Words of workplace in Korea! 얼죽아?

이미지
🇰🇷 한국 사무실에서 알아야 할 단어들!①: 엔빵, 아아/뜨아/얼죽아, 방학 - Super Real Korean 💼 한국 사무실에서 알아야 할 단어들!① 🗣️ Must know words when you work in Korean office   GO TO MORE AND BETTER ✨ 한국 회사, 단어의 다른 의미? Grace와 Mike는 한국 회사에 입사 전에 이미 한국어능력시험(TOPIK) 4급을 획득했다. 일상생활과 제한된 업무 분야에서의 의사소통은 무리없는 실력. 그러나 실제 한국 회사에서 일을 하다보면 상황과 맥락에서 다양하게 쓰이는 단어들을 어렵게 느낀다고 한다. Grace and Mike both passed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level 4 before joining a Korean company. They have a good command of Korean for daily life and limited work-related communication. However, they find it challenging to understand the various meanings of words used in different contexts and situations in a real Korean workplace. ...